北の核実験準備、南側坑道でも活発化…韓国報道

【ソウル=豊浦潤一】韓国の聯合ニュースは2日、北朝鮮が3度目の核実験を準備しているとみられる北東部・豊渓里(プンゲリ)の核実験場で、三つある坑道のうち、ほぼ実験準備が終わった西側坑道のほかに、南側の坑道でも動きが活発化していると報じた。

韓国政府筋の話として伝えたもので、同筋は「両方の坑道で核実験を行う可能性があるが、南側はカムフラージュかもしれない」と説明している。

2日に本紙の取材に応じた韓国政府関係者も、南側坑道での作業活発化を認めた。この関係者は、パキスタンが1998年に核実験を行った際、1日に5回の実験を実施したとされることを挙げ、北朝鮮も複数回の核実験を行う可能性があると語った。

この関係者は、西側坑道入り口では1月末に幕が張られて以降、人や車両の動きが激しくなっていると指摘。「核爆弾や高速カメラなどを坑道の中に入れ、設置済みのケーブルと連結するなど仕上げに入っている可能性がある」との見方を示している。

 

読売新聞 2月2日(土)18時14分配信  

 

=================================================

 

북한의 핵 실험 준비, 남쪽 갱도에서도 활발 ... 한국 보도

서울 = 토요우라 쥰이치 한국 연합 뉴스는 2 북한이 3차 핵 실험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북동부 · 풍계리 실험장에서 갱도 거의 실험 준비가 끝난 서쪽 갱도 외에 남쪽 갱도에서도 움직임이 활발 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국 정부 소식통의 말을 전한 것으로, 이 소식통은 " 갱도에서 핵 실험 가능성이 있지만, 남쪽 위장지도 모른다"고 설명하고 있다.

2일 본지 취재에 응한 한국 정부 관계자도 남쪽 갱도에서 작업 활성화를 인정했다. 관계자는 파키스탄이 1998 핵 실험을했을 때, 하루에 5 실험 실시했다고 하는 것을 들어, 북한 여러 번 핵 실험 실시 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다.

관계자는 서쪽 갱도 입구에서는 1월말 막이 쳐진 이후, 사람과 차량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핵폭탄 고속 카메라 등을 갱도 안에 넣어 설치하는 케이블로 연결하는 등 마무리 들어가있을 가능성이있다"라는 견해를 나타내고있다.

 

요미우리신문 2월2일(토)18시14분 배신








[공유경제가 나아갈 방향②] 빨래방·오디오북 명과 암
[KJtimes=김승훈 기자]“소유에서 공유로 시대정신이 바뀌고 있다. 특히 IT 발달로 소유보다 더 편리한 공유의 시대가 오고 있다. 기존의 사회가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으로 인한 소유의 시대였다면 미래는 재화와 서비스를 필요한 시간만큼 이용하는 공유의 시대가 될 것이다.” 공유경제제연구소 이계원 대표는 지난달 25일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2021 제1회 공유경제 학교’ 초청 강연에서 ‘공유경제가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공유경제의 현주소와 미래를 이 같이 전망했다. 이 대표는 요즘 핫한 공유경제의 사례로 ‘빨래방’과 ‘오디오북’ 시장의 현 상황과 향후 진화 방향을 제시했다. 이 대표는 “저는 집에 세탁기나 건조기가 있지만 운동화를 빨기 위해 빨래방을 이용한다”고 운을 뗀 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인가구는 30%를 넘어섰다. 이들의 상당수는 좁은 원룸에서 사는데 집도 좁은데 세탁기, 건조기 같은 빨래 용품들이 다 갖추기에는 공간이 좁다”고 1인가구의 애로사항을 설명했다. 이어 “요즘 의류 관련 가전제품들이 늘고 있다. 예전에는 세탁기하나면 충분했는데 건조기, 의류를 관리 할 수 있는 드레스에 신발 관리하는 슈드레스까지 등장했다”며 “이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현장+]각축전 펼치는 야권 잠룡…판세변화 따져보니
내년 3월 9일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잠룡들이 속속 출사표를 던지며 전면에 나서고 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윤석열 전 검찰총장,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 등이 그 주인공이다. 사실 정치권에서는 대선의 성패를 가르는 요소로 바람과 이슈, 인물을 꼽는다. 그 중 으뜸은 ‘바람’이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바람과 이슈의 역할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인물이 성패를 대선의 향방을 좌우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에 <KJtimes>에서는 잠룡들이 갖추고 있는 각각의 지지기반들을 좇았다.[편집자 주] [KJtimes=견재수 기자]윤석열 대선 후보(전 검찰총장)가 지난 7월 30일 국민의힘에 입당하면서 지지율이 상승했다. 그러나 윤 후보의 갈팡질팡 언행에 국민의힘 내부에서 불편한 심기를 보이던 상황에서 후쿠시마 발언 직후 실시한 갤럽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급락한 모습이다. 여러 정치세력이 ‘X파일’에서 제기된 윤 후보 관련 의혹들을 본격 검증에 들어가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윤 후보가 “후쿠시마 방사능 누출 없었다”고 언급한 것으로 인해 야권후보 지지율 변화가 초래될 것인지 여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형국이다. 윤석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