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6조 9000억원...완만한 회복세

D램·낸드플래시 탄탄한 수요 영향

[KJtimes=이지훈 기자]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에 69000억원의 영업이익(잠정실적)을 올리며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삼성전자는 2분기 영업이익이 1분기(59800억원)보다 15.38% 증가한 69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그러나 20142분기(71900억원)보다는 4.03% 감소했다.

 

삼성전자 실적은 지난해 3분기 4600억원으로 바닥을 찍은 이후 작년 4분기(52900억원), 올해 1분기(59800억원)에 이어 세 분기 연속 개선 흐름을 보이면서 완만한 회복세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영업이익률은 14.38%를 기록했다. 한때 10% 수준으로 떨어졌던 영업이익률이 15%에 육박할 정도로 회복했다.

 

부문별로는 반도체를 포함한 DS(부품) 부문이 D·낸드플래시의 탄탄한 수요 덕분에 1분기(33900억원)에 이어 실적 호조세를 지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만 따져도 1분기 29300억원이었는데 2분기에는 3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디스플레이(1분기 5200억원 흑자)도 비슷한 성적을 낸 것으로 보인다.

 

사업부문별 실적은 이달 말 확정실적 발표 때 나온다.

 

1분기에 적자였던 시스템LSI 사업도 2분기에는 흑자전환에 성공한 것으로 추정된다. 흑자-적자의 경계선 쪽이라 확정실적이 나와봐야 알겠지만 삼성전자가 그동안 취약했던 비메모리 사업이 본격적인 반등의 계기를 잡은 셈이다.

 

그러나 출시 초기 폭발적인 반응을 보였던 갤럭시S6 시리즈의 판매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스마트폰 사업을 맡는 IM(IT모바일) 부문의 실적 회복 속도가 다소 더딘 편이다.

 

IM부문은 작년 3분기 17500억원으로 저점을 기록한 이후 4분기 19600억원, 1분기 27400억원으로 올라서 애초 2분기에는 3조원을 쉽게 돌파할 것으로 기대했었다.

 

그러나 2분기 실적은 3조원 안팎에 있거나 3조원에 약간 미달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T전자업계에서는 갤럭시S6 시리즈에 대한 외신의 호평 릴레이가 이어져 기대감이 워낙 컸지만 실제 판매 상황은 기대만큼 연결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출시 초기에 갤럭시 S6엣지의 수요가 강했으나 공급이 원활하지 못했던 점과 유럽 경기가 좋지 않았던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CE(소비자가전) 부문은 에어컨 등 생활가전 부문에서 실적이 회복되고 신흥시장 환율 변수에도 TV부문의 수익성이 개선돼 1분기 1400억원의 적자에서 2분기에는 소폭 흑자로 전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올해 2분기 삼성전자의 매출액은 48조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매출액은 올해 1분기(471200억원)보다 1.87% 증가했으나 지난해 2분기(523500억원)와 비교하면 8.31% 감소했다.

 

 

 








[공유경제가 나아갈 방향②] 빨래방·오디오북 명과 암
[KJtimes=김승훈 기자]“소유에서 공유로 시대정신이 바뀌고 있다. 특히 IT 발달로 소유보다 더 편리한 공유의 시대가 오고 있다. 기존의 사회가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으로 인한 소유의 시대였다면 미래는 재화와 서비스를 필요한 시간만큼 이용하는 공유의 시대가 될 것이다.” 공유경제제연구소 이계원 대표는 지난달 25일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2021 제1회 공유경제 학교’ 초청 강연에서 ‘공유경제가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공유경제의 현주소와 미래를 이 같이 전망했다. 이 대표는 요즘 핫한 공유경제의 사례로 ‘빨래방’과 ‘오디오북’ 시장의 현 상황과 향후 진화 방향을 제시했다. 이 대표는 “저는 집에 세탁기나 건조기가 있지만 운동화를 빨기 위해 빨래방을 이용한다”고 운을 뗀 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인가구는 30%를 넘어섰다. 이들의 상당수는 좁은 원룸에서 사는데 집도 좁은데 세탁기, 건조기 같은 빨래 용품들이 다 갖추기에는 공간이 좁다”고 1인가구의 애로사항을 설명했다. 이어 “요즘 의류 관련 가전제품들이 늘고 있다. 예전에는 세탁기하나면 충분했는데 건조기, 의류를 관리 할 수 있는 드레스에 신발 관리하는 슈드레스까지 등장했다”며 “이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편의점 CU 가맹점 직원, 임산부 폭행 논란..."본사 나 몰라라" 분개
[kjtimes=정소영 기자] “임산부를 폭행한 CU편의점이 해당 문제를 방관하고 있어 억울한 마음에 글을 올립니다.” 부산에 사는 한 여성이 지난해 11월 26일 CU편의점 가맹점에서 발생했던 폭행 사건 사연을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재해 논란이 일고 있다. 자신을 임산부라고 밝힌 여성 A씨는 신랑과 함께 편의점을 방문했다가 봉변을 당했다며 “(편의점에) 들어가자마자 신랑은 과자코너, 저는 음료코너에 있었는데, 여직원이 성큼성큼 제 쪽으로 오더니 저의 어깨와 팔 사이를 세게 밀치며 지나갔다”라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A씨는 “(제가 서 있던) 자리가 좁지 않았고 내 앞뒤 공간이 충분했으며, 누가 봐도 (직원이) 일부러 친 느낌이었다”며 폭행을 당하던 순간을 또렷이 기억하고 있었다. 이어 “당시 6주차 임신 위험 기인 극초기 임산부였다”며 “(직원이) 저를 빤히 보며 걸어오면서 어깨와 배 사리를 더 세게 쳤다”며 "너무 놀라 ‘악’ 외마디 소리를 질렀다”고 주장했다. A씨는 “얼마나 세게 쳤는지 직원 손에 들고 있던 과자봉지 속 내용물이 바닥으로 다 날라갔다”며 "저도 휘청거리며 넘어질뻔한 걸 옆으로 다가온 신랑이 잡아줬다”라고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