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간 총리도 재일한국인 자금..퇴진 위기

지지율 하락으로 고전하고 있는 일본의 나오토(菅直人) 총리가 외국인인 재일 한국인으로부터 정치자금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더욱 궁지에 몰렸다.

 

총리는 재일 한국인임을 모르고 자금을 받았기 때문에 사임을 고려하지않고 있다고 밝혔지만 마에하라 세이지(前原司) 외무상이 재일한국인 정치자금 문제로 퇴진한 직후여서 야권의 사퇴 공세가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현직 총리와 외무상의 재일 한국인 정치자금 문제가 폭로됨으로써 여야당간 외국인 정치헌금에 대한 마녀사냥이 확산돼 일본 정치권 전반이 혼란에 빠져들 가능성도 배제할 없다.

 

  

이번엔 총리가 재일한국인 정치자금 = 총리의 정치자금 수수는 11 아침 아사히신문의 보도로 폭로됐다.

 

아사히신문은 총리의 정치자금관리단체가 외국인인 재일 한국인으로부터 2006년부터 2009년에 걸쳐 모두 104만엔( 1400만원) 정치헌금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총리는 () 요코하마상은신용조합( 중앙상은신용조합) 비상임이사(남성.52) 재일한국인으로부터 2006 100만엔, 2009 3 2만엔, 2009 8 1만엔을 받았고, 2009 8.30 총선으로 민주당 정권으로 바뀐 뒤인 11 총리가 부총리 국가전략담당상이었을 1만엔을 받았다. 헌금자 이름은 모두 일본명으로 기재됐으며 직업은 회사 임원으로 있었다.

 

이에대해 총리는 이날 아침 출근때는 입을 닫았으나 각료간담회와 이어 열린 참의원 예결위원회에서 재일 한국인으로부터의 정치자금 수수 사실을 시인했다.

 

총리는 재일 한국인이 지인을 통해 알게돼 낚시와 식사를 함께하는 친분이 있는 사람이라고 말했으나 일본 이름을 일본 국적으로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총리는 외국인인줄 모르고 정치헌금을 받았기 때문에 총리직을 사임하지않겠다고 못박았다. 안팎에서 분출할 사퇴론이나 중의원 해산론에 쐐기를 박은 것이다.

 

측근인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재무상은 "고의가 아니어서 법적인 문제는 없다" 총리를 두둔했다. 에다노 유키오(枝野幸男) 관방장관은 "마에하라 외무상은 자신의 판단으로 사임했다. 총리는 사임을 전혀 생각지않고 있다" 말했다.

 

민주당의 아즈미 (安住淳) 국회대책위원장은 "부주의했다고 생각하지만 고의가 아닌만큼 걱정하지않는다"면서 "마에하라 외무상의 경우 본인과 정치자금관리단체가 재일한국인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지만 총리의 경우 전혀 그런 인식이 없었다는 점이 크게 다른 점이다" 진화에 부심했다.

 

총리 퇴진 위기..마녀사냥 확산 가능성 = 정적인 오자와 이치로(小澤一郞) 간사장의 정치자금 의혹을 비난해왔던 총리로서는 이번 문제가 치명적이다.

 

자금 문제에 대한 선명성을 내세워 () 오자와 그룹을 결집해 작년 6 집권에 성공했으나 이번엔 자신의 정치자금 문제가 부메랑이 정치적 입지를 더욱 좁힐 것으로 보인다.

 

총리는 그렇지않아도 참의원의 여소야대로 2011년도 예산관련 법안 처리가 어려워진데다 오자와 간사장과의 갈등, 지지율 추락 등으로 내일을 기약할 없는 정치적 위기가 계속되고 있다.

 

야권은 정권 붕괴를 앞당기기 위해 총리에 대한 총공세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1야당인 자민당은 총리가 국정 수행 능력을 상실한만큼 중의원을 해산하고 조속히 총선거를 실시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그동안 보스의 정치자금 의혹이라는 약점 때문에 수세에 섰던 오자와계의 당내 공격도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오자와 그룹은 중의원 임기가 아직 2 이상 남은 만큼 해산과 총선보다 총리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일본 정치권 전반에 외국인 정치자금에 대한 마녀사냥이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민주당이 지금까지는 당하고 있지만 외국인 정치자금이 민주당 쪽에만 몰렸을 것이라고는 생각지않고 있기 때문이다. 먼지를 털면 장기간 집권했던 자민당 쪽에도 외국인 정치자금이 흘러들어갔을 개연성이 높다.

 

실제로 후쿠다 자민당의 야스오(福田康夫) 총리가 1996년과 2003 조총련계 인사가 경영하는 회사로부터 20만엔의 정치헌금을 받았고, 구라타 히로유키(倉田寬之) 참의원 의장도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외국인으로부터 65만엔을 받은 것이 밝혀졌다.

 

이번 문제를 계기로 비합리적인 정치자금규정법 개정 여론도 높아질 전망이다. 외국인이 일본 명으로 정치헌금을 경우 일일이 국적 확인을 하는 것이 어려운데다, 온라인을 통한 정치헌금이 확산하는 상황에서는 더욱 외국인 여부 확인이 쉽지않다.

 

kjtimes뉴스팀/news@kjtimes.com








[공유경제 CEO-짐 캐리 손진현]“커지는 공유 시장, 공유경제 정의부터 마련해야”
[KJtimes=김승훈 기자]여행이 일상화된 시대지만 무거운 짐을 들고 다니기에 불편한 점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러나 공유 경제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러한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즉, 공항이나 기차역에서 자신의 짐을 운반하지 않고 원하는 장소에서 받아볼 수 있게 된 것이다. 공유경제 스타트업 짐 캐리(ZIM CARRY)의 손진현 대표는 지난달 25일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2021 제1회 공유경제 학교’에서 ‘공유경제 기업특강’을 했다. 손 대표에 따르면 짐 캐리는 기차역·공항 수화물 보관과 픽업 서비스를 하는 업체다. 손 대표는 “처음 이 서비스를 시작했을 때 사람들은 ‘이게 왜 공유 경제냐, 공유 기업이냐’는 말을 했다”면서 2021년도 부산시 ‘공유경제 활성화 지원사업’ 시행 모집 공고문의 공유경제 기업 유형과 사례를 제시했다. 부산시 ‘공유경제 활성화 지원사업’의 공유자원에 따른 분류를 보면 ▲모빌리티공유(자전거·차량·운송연계 등) ▲공간공유(주차장·숙박·회의 등 비즈니스 공간·사무 공간 등) ▲물품공유(의류·장난감·가전제품·생활용품 등) ▲정보서비스(온라인교육·재능·지식서비스·도서 등)로 나뉜다. 손 대표는 특히 부산 공유경제 활성화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