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요즘뜨는 정보

[日本語]도쿄전력 전임원 연봉 50% 삭감

東京電力が、全役員の年間の報酬を50%程度カットする方針を固めたと、読売新聞が25日、報じた。部長級など管理職の年収も3割前後カットする方向で検討している。

  

東電は、福島第一原子力発電所の事故を受けて巨額の賠償負担が予想されており、労働組合に対しては、組合員の年収の約2割削減を提案している。役員や管理職はこれを上回る削減を行い、全社を挙げてリストラを徹底する姿勢を明確にする。

  

東電は、柏崎刈羽原発(新潟県)の運転停止に伴い、2007年度以降、役員賞与の停止や役員報酬の20%削減を続けている。09年度の有価証券報告書によると、社外取締役を除く取締役の報酬総額は約7億円で、取締役19人の平均は1人約3700万円。東電は社長、副社長経験者らのOBが就く顧問職についても、制度の見直しや手当のカットを検討している。

 

 

한국어

 

일본 도쿄전력이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사태에 따른 거액의 손해배상금을 마련하고자 모든 임원의 연봉을 50% 정도 삭감한다는 방침을 굳혔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5일 보도했다.

   

부장급 등 관리직은 30% 정도 삭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고, 노동조합에는 조합원의 연봉을 약 20% 줄이자고 제안한 상태다. 도쿄전력은 전임 사장, 부사장 등이 취임하는 고문직에 대해서도 수당 삭감 등을 검토하고 있다.

 

도쿄전력은 니가타(新潟)현의 가시와자키카리와(柏崎刈羽) 원전 운전 중단에 따라 2007년도 이후 임원 보너스 지급을 중단했고, 임원 보수를 20% 삭감했다.

   

2009년도 도쿄전력 유가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사내 이사 19명의 보수 총액은 약 7억엔(92억원)이고, 일인당 평균은 약 3천700만엔(4억8천만원)이다.

   

도쿄전력은 또 일본 국내외의 자회사를 매각하고, 앞으로는 본업인 일본 내 전력사업에 집중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매각 대상에는 외국의 우라늄 광산을 경영하는 테프코 리소시즈(캐나다)나 일본 내 인재 파견 회사인 커리어라이즈(career-rise), 도쿄전력부동산 등이 거론되고 있다. 통신 회사인 KDDI 등의 주식 보유분이나 직원 휴양소도 팔 계획이다. 도쿄전력은 이 같은 방안을 이달 안에 내놓을 경영합리화 계획에 포함할 예정이다.

   

한편 일본 정부는 손해배상액 중 일부 지원을 전제로 도쿄전력의 구조조정을 요구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피난을 강요당한 주변 주민이나 농수산물 출하 정지로 수입을 잃은 농가 및 어업 관계자에 대한 도쿄전력의 손해배상액은 수조엔(수십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kjtimes日本語ニュースチーム/news@kjtimes.com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단독]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 그 후'… 혜성처럼 나타난 ‘돗투돗‧(주)태린
[kjtimes=견재수 기자]지난 2017년 6월 ‘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보니 사태)’ 이후 유아용품업계는 거대한 폭풍이 휩쓸고 간 듯했다. 베이비페어가 열릴 때마다 발 디들 틈조차 없었던 행사장의 모습을 언제 다시 볼 수 있을지 요원한 일이었다. 보니 사태가 유아용품업계에 준 영향력이 그만큼 컸다는 얘기가 여기저기서 나왔다. 특히 홍성우 보니코리아 전 대표의 환불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것을 두고 유아용품업계 전반에 걸쳐 신뢰도를 추락시킨 사건이라는 지적도 많았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한 소비자는 “당시 인기가 많았던 회사가 그런 식으로 대처하니 엄마들 사이에서는 아기 제품을 파는 다른 회사까지 불신하는 분위기가 확산된 것 같다”고 말했다. 유아용품업계 한 관계자도 “최근 5년간 베이비페어 분위기는 보니 사태 전과 후로 구분된다”면서, “보니 사태 전까지 베이비페어에 고객들이 북적거렸는데, 아웃라스트 문제가 터진 후 유아용품 행사에 대한 관심도 떨어지고 전반적으로 침체된 것 같다”고 전했다. 혜성처럼 나타난 ‘돗투돗’과 ‘㈜태린’ 이 같은 상황에서 인스타그램을 통해 혜성처럼 나타난 회사가 있다. 바로 돗투돗(대표 송영환), ㈜태린(대표 김태린)

나문희, 윤여정, 강부자···MZ세대까지 사로잡아 유통업계 다시 부는 ‘시니어 모델’ 열풍
[KJtimes=김봄내 기자]최근 유통업계에서 시니어 모델 열풍이 불고 있다. MZ세대를 타깃으로 한 브랜드들이 발상의 전환으로 시니어 모델을 기용,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과 OB맥주, 지그재그 등 주요 유통·식음료 기업들은 최근 시니어 모델을 기용한 광고로 MZ세대들로부터 화제의 중심이 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MZ세대 대표 간편식인 햇반컵반의 새 모델로 배우 나문희를 발탁하고 탐정이 된 나문희가 햇반컵반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추리형 콘텐츠 '명탐정 컵반즈'를 선보였다. 1020 여성 쇼핑플랫폼 지그재그는 한예슬의 후속 모델로 윤여정을 모델로 발탁하며 화제를 모았다. 지난 12일 공개한 티저 영상 속 윤여정이 '근데 나한테 이런 역할이 들어왔다. 젊고 이쁜 애들도 많은데. 근데 잘못 들어온거 아니니?'라고 말하는 모습이 공개되며 소비자 이목을 사로잡았다. 어린 여성들이 쓰는 쇼핑 앱도 나이 많은 사람이 연령에 구애받지 않고 광고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기존의 모델 공식을 깨뜨린 것. 뒤이어 공개된 광고 본편 영상에서는 '옷 입는데 남 눈치 볼 거 뭐 있니? 네 맘대로 사세요'라고 시원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