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国のGSカルテックスと日本のJX日鉱日石エネルギーの合弁会社、パワー・カーボン・テクノロジー(PCT)は13日、電気自動車用リチウムイオン2次電池の核心材料の一つであるソフトカーボン系負極材を生産する工場の起工式を慶尚北道・亀尾で行った。
工場の生産能力は年産2000トン。年内の完成を目指す。PCTは市場の状況を見極めながら生産能力を年産4000トン以上に拡大していく計画だ。
GSカルテックスは2007年に、それまで日本からなどからの輸入に頼っていた負極材の独自開発に韓国で初めて成功した。
GSカルテックスの許東秀(ホ・ドンス)会長は起工式での祝辞で、国産化に成功した負極材で世界市場への進出を目指すとし、「既存の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EDLC)用炭素素材事業とのシナジー効果を発揮し、世界的な新エネルギー・新素材企業として発展していく」と強調した。
聯合ニュース
한국어
GS칼텍스는 13일 경북 구미 산업단지에서 리튬이온 2차 전지의 4대 핵심소재 중 하나인 음극재를 생산하는 공장의 기공식을 했다.
GS칼텍스는 일본 최대에너지 회사인 JX NOE(옛 신일본석유)와 합작해 만든 파워카본테크놀러지(PCT)를 통해 소프트카본계 음극재를 연 2천t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올해 말까지 건설할 계획이다.
이는 2012년 세계 리튬 2차전지용 소프트카본 음극재 시장의 100%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로 PCT는 시장 상황을 고려해 연간 4천t 규모 이상으로 생산능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공장에서 생산될 음극재는 원유 정제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인 코크스를 1천도에서 열처리해 만드는 것으로 2007년 GS칼텍스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자체 개발했다.
소프트카본 계열 음극재는 기존에 쓰던 흑연이나 하드카본 계열보다 출력이 높고 충전시간이 짧으면서도 가격이나 안정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2차 전지의 핵심소재 중 음극재는 양극재, 전해질, 분리막 등 다른 소재와 달리 국산화가 가장 뒤처져 일본 등에서 수입해왔다.
허동수 GS칼텍스 회장은 기공식이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연간 2천t 생산규모는 전세계 리튬이온 2차전지용 음극재 수요량의 10%에 해당하는데 국산화에 성공한 소프트카본계 외에 천연흑연 등 다양한 종류의 음극재 개발에 노력할 것"이라며 "새로운 사업과 관련해서도 여러 가지 구상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허 회장은 유가 고공행진에 따른 정유시장의 전망을 하기 어렵다면서 "화석연료가 당분간 에너지 연료의 주축을 담당할 것이기 때문에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수출을 통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기공식에는 허 회장 외에 남유진 구미시장, 김태환ㆍ김성조 국회의원, 키무라 야수시 JX NOE사장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소니는 다른 게임 서비스 ‘PSN’과 ‘큐리오시티’로부터 유출된 약 7700만 명 중 미국 이용자 3100만 명에게는 이미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kjtimes日本語ニュースチーム/news@kj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