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코스닥시자의 공모주 투자가 주목을 받고 있다. 공모주 투자의 매력이 실감날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일례로 지난 7일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흥국에프엔비[189980]는 상장 첫날 바로 상한가를 쳤다. 시초가도 공모가(2만원)의 2배인 4만원에 형성됐다. 결국 공모주 청약을 통해 지난달 말 이 주식을 받은 투자자는 1주일만에 160%의 수익률을 냈다.
코스닥 공모주 투자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사례는 또 있다. 지난달 22일 상장한 펩트론[087010]의 공모가 대비 수익률은 298.8%에 달했다. 엘아이지에스스팩(199.0%), 제노포커스[187420](174.1%), 로지시스[067730](158.4%) 등도 초고수익을 냈다.
실제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공모주 청약이 없는 변경 상장 등은 제외)은 46개사다. 이들 기업 중 무려 42개사가 공모주 투자자에게 플러스 수익률을 안겨주고 있다. 이들 기업의 지난 7일 현재 주가는 공모가보다 평균 66.6% 상승했다. 칩스앤미디어[094360](25.7%), 유테크[178780](60.0%), 코아스템[166480](72.5%) 등이 대표적이다.
반면 공모가보다 주가가 낮아진 기업은 싸이맥스[160980](-24.5%), 베셀[177350](-1.1%), 세미콘라이트[214310](-0.9%), 포시에스[189690](-0.7%) 등 4개사에 그쳤다.
증권가에선 당분간 코스닥시장의 공모주 투자 기회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올해 코스피 시장에 20개사, 코스닥에 100개사가 신규 상장되도록 할 계획인데 현장 분위기도 나쁘지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는 게 그 이유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들은 일반적으로도 상반기보다는 하반기에 상장이 집중되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 7개월간 진행된 공모주 청약보다 남은 5개월간 더 많은 투자 기회가 제공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현재 증권가에선 코스닥시장의 공모주 청약 열기는 ‘진행형’이라고 보고 있다. 공모주 청약의 열기는 좀처럼 식을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흥국에프엔비를 꼽는다. 이 기업은 청약 경쟁률이 1000대 1에 달하고 청약자들이 미리 맡겨두는 청약증거금만 3조원을 넘었다.
문제는 막상 공모주에 투자하려 해도 초보자에게는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이는 청약 일정조차 알기 어렵다는 이유에 기인한다.
하나의 방법은 한국거래소가 운영하는 카인드(kind.krx.co.kr) 등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면 심사청구, 공모주 청약 예정일 등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아직은 생소하지만 다른 기업을 합병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된 기업인수목적회사(스팩·SPAC)의 공모주 청약에도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또 다른 하나의 방법이다.
서윤복 NH투자증권 부장은 “지난달 상장한 파마리서치프로덕트는 증거금이 7조원대에 달했다”며 “평균 수익률이 높다보니 유통 주식보다 아예 공모주 위주로 투자하는 분들도 있다”고 전했다.
서 부장은 “최근에는 저금리의 영향으로 투자처가 마땅치 않다보니까 자산가들도 공모주 청약 시장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면서 “재무안정성이나 밸류에이션(평가가치)은 당연히 따져 봐야 하고 스무디 같은 과일 음료의 인기가 작용한 흥국에프엔비 사례처럼 사회적인 트렌드에 맞는지도 함께 보면 좋다”고 조언했다.
나유석 대신증권 팀장은 “현장 분위기를 볼 때 상장을 하려는 기업들이 많다”며 “실제로 코스닥과 코스피에 상장하려고 상장 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한 기업은 현재 더블유게임즈, 아이진, 네오오토 등 20여개사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이성길 거래소 상장심사2팀장은 “스팩은 3년 이내에 합병을 못하면 청산하도록 되어 있다”며 “공모 자금은 신탁 또는 예치돼있어 청산할 때 공모주 투자자들은 사실상 원금을 보장받게 된다”고 언급했다.
한편 코스피 시장 공모 기업 7개사의 7일 현재 공모가 대비 수익률은 평균 14.6%로 코스닥에 비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바이오·제약주를 비롯해 중소형주와 코스닥 종목의 주가 상승률이 대형주·코스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상황을 반영한다.
올해 코스피 신규 상장사 중에서는 SK D&D의 수익률이 231.9%에 달한 것을 비롯해 토니모리[214420](73.1%), 경보제약[214390](33.0%) 등 3개사만 플러스 상태다.
반면에 세화아이엠씨[145210](-23.0%), 미래에셋생명[085620](-11.6%), 엔에스쇼핑[138250](8.5%), 이노션[214320](-8.1%) 등 4개사는 마이너스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