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엔씨소프트’ 증권사들이 주목하는 이유

“현대차 브랜드 전략 적절”…“엔씨소프트 리니지만으로도 성장 가능”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자동차[005380]와 엔씨소프트[036570]에 대해 증권사들이 주목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5일 삼성증권은 현대차의 고급차 브랜드 제네시스론칭에 대해 성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급차 브랜드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으며 브랜드 분리는 올바른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 4일 고급차 브랜드 제네시스의 론칭을 발표하면서 고급차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고급차 브랜드가 성공하면 일반 브랜드의 평균판매단가(ASP)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제네시스 브랜드의 성공여부를 가늠하는 첫 번째 시험대는 에쿠스의 후속모델로 출시되는 EQ900 모델의 해외시장 판매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임 연구원은 아직은 시장별 전략 등 상세 내용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2020년까지는 광고나 연구개발 등 비용 증가가 예상된다면서 이 기간 그룹 내에서 광고를 담당하는 이노션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같은 날, KDB대우증권은 엔씨소프트가 주력 게임인 리니지만으로도 안정적인 성장을 계속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면서 투자 의견을 매수‘(목표주가 27만원)로 유지했다. 그러면서 리니지 게임 소비자 중 30대 이상이 87%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의 충성도가 장기간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KDB대우증권은 엔씨소프트의 경우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 38% 1956억원과 506억원에 그쳤지만 리니지 매출액은 예상치를 크게 상회했으며 수년간 리니지만으로도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창권·박정권 KDB대우증권 연구원은올해 리니지 매출액은 지난해 2631억원보다 19.9% 증가한 3155억원으로 예상된다리니지의 높은 1인당 매출액과 게임 시간은 향후 꽤 긴 시간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이들 연구원은 리니지 등 기존 게임의 안정적 현금 창출력이 확인됐고 리니지모바일, MXM 등 모바일 및 신작 게임이 연이어 상용화돼 신규 매출도 발생할 것이라면서 내년에는 엔씨소프트 주가에 대한 새로운 평가가 기대된다고 관측했다.








[공유경제 위기와 도전⑤]中 자전거 공유 스타트업 ‘헬로’…자국 시장 공략 집중 성장 발판
[KJtimes=김승훈 기자]중국 공유 자전거 업체 헬로추싱이 미국 증시 상장까지 추진하고 있을 정도로 급부상하고 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헬로추싱은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업공개(IPO) 신청서를 냈다. 올해 2분기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2016년 상하이에서 ‘헬로바이크’란 공유 자전거 서비스로 출발한 헬로추싱은 현재 대표인 양레이가 28세에 공동 창업했으며 일정 금액을 내면 자신이 원하는 만큼 자전거를 대여해 운용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전자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와 협업한 헬로추싱은 알리페이와 연동돼 있어 회원가입 없이 스캔 한 번만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현지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헬로추싱은 2018년 중국 자전거 공유업체 1·2위 업체였던 오포와 모바이크가 추가 투자 유치 실패와 중국 정부의 공유 자전거의 수량 제한 등의 이유로 경영난을 겪을 때 알리바바에서 투자를 받으며 급성장했다. 오포가 전 세계로 눈을 돌리며 사업을 확장할 때 헬로추싱은 자국 시장 공략에 집중한 덕분도 있다. 당시 헬로추싱의 기업 가치는 1조65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중국의 400개 이상 도시에서 운영되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돗투돗, 제품 불량 논란에 댓글 차단까지… 고객들 ‘부글부글’
[kjtimes=견재수 기자] 유아용품업체 돗투돗(대표 송영환)이 제품 불량 논란에 휩싸이며 고객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그런데 더 큰 문제로 지적되는 것은 고객들이 올린 제품 관련 댓글을 임의로 삭제하거나 관련 고객들을 차단하면서 마치 아무런 일도 없었던 것처럼 버젓이 물건을 팔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고객들은 300만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네이버 카페 ‘맘스홀릭’에 이 같은 내용을 하소연 하고 있지만 그마저도 명예훼손 등의 이유로 게시글과 댓글들이 차단되면서 맘스홀릭에 대한 불만도 갈수록 높아지는 분위기다. 14일 유아용품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 소비자가 ‘한국소비자연맹에 의류심사를 의뢰했다’는 글을 네이버 카페 ‘맘스홀릭’에 올리면서 회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의뢰인이라고 밝힌 A씨는 돗투돗에서 거즈 블랭킷을 구입한 다른 소비자가 베란다 창문으로 제품을 흔들어 털자 먼지가 심하게 발생하는 동영상을 보고 한국소비자연맹에 불량성 의뢰를 맡기게 됐다고 글을 시작했다. A씨는 “맘카페에 올라온 먼지털이 영상을 보고 의구심이 들어 돗투돗 측에 몇 가지 문의를 했지만 입장을 밝히면서 올린 인증서 피드가 잘 보이지 않았다”면서 “불안할 바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