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戦争ができる日本を叫ぶ政権」 安倍政権誕生に韓国メディア警戒

 【ソウル=加藤達也】衆院選で自民党が圧勝したことについて17日の韓国主要紙は「過去に戻る日本」(中央日報)などとして1面で報じ、「憲法改正」を掲げる自民党・安倍晋三政権誕生への強い警戒心を示した。

朝鮮日報は安倍氏が、「戦争を禁じた平和憲法の改定による国防軍の保有、集団的自衛権の付与、戦犯が合祀(ごうし)されている靖国神社参拝、(日本統治時代の)慰安婦の強制動員を認めた河野談話の修正などの極右公約を掲げてきた」と指摘。「(公約が)一つでも実現されれば東北アジア情勢の激変は必至だ」との見方を示した。

中央日報も「戦争ができる日本を叫ぶ安倍(晋三自民党総裁)が政権奪還」などの見出しで、懸念を伝える内容。

東亜日報は中面で、韓国の大統領選に関連し、「誰が大統領になろうとも、右傾化した扱いにくい日本を相手にしなくてはならない」と分析した。

また島根県の竹島(韓国名・独島)問題に関しては、中央日報が大統領就任式(2月25日)直前の2月22日の「竹島の日」が日本政府の行事に格上げされれば、「日韓関係は最大の難所を迎える」と主張。

朝鮮日報は「『河野談話』を修正した瞬間、日本は国際社会から孤立する」とする識者の“警告”を伝えるなど感情的な表現のコメントも目立っている。

 

産経新聞 12月17日(月)11時34分配信  

 

=================================================

 

"전쟁이있는 일본을 외치는 정권"아베 정권 탄생 한국 미디어 경계

서울 = 카토 타츠야 중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이 압승을 한 것에 대해 17 한국 주요 신문은 "과거로 돌아 가는 일본" (중앙 일보) 으로 1면에 보도하면서 '헌법 개정' 내건 자민당의 아베신조 정권 탄생 강한 경계심을 나타냈다.

조선일보는 아베가 "전쟁 금지한 평화 헌법 개정에 의한 국방군의 보유, 집단적 자위권 부여, 전범 합사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일제 시대) 위안부 강제 동원 인정한 고노 담화 수정 극우 공약 내걸고왔다 "고 지적했다. "(공약이) 하나라도 실현되면 동북아 정세 격변 불가피하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중앙일보도 "전쟁이 가능한 일본을 외치는 아베 (신조 자민당 총재) 정권 탈환" 제목으로 우려 전하는 내용을 실었다.

동아일보는 중간에서 한국 대선과 관련, "누가 대통령이된다고해도, 우경화해 가는 일본을 상대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분석했다.

또한 시마네 현 다케시마 (한국명 독도) 문제에 대해 중앙일보가 대통령 취임식 (2 월 25 일) 직전 2월 22 '다케시마의 날'이 일본 정부 행사로 격상되면 "한일 관계는 가장 어려운 부분 맞이"고 주장 했다.

조선 일보는 " '고노 담화' 수정하는 순간 일본은 국제 사회에서 고립한다"고하는 식자의 "경고" 전하는 등 감정적 인 표현 댓글 눈에 띄고있다.

 

산케이신문 12월17일(월)11시34분 배신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