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製品不買運動の開始を宣言 自営業者らの団体

【ソウル澤田克己】韓国の自営業者らの団体が1日、竹島の日(2月22日)式典に日本政府が島尻安伊子内閣府政務官を派遣したことに抗議して、日本製品不買運動の開始を宣言する集会をソウルで開いた。今後、会員の商店などで「日本製品を売るのも買うのもやめよう」という不買運動を展開すると宣言しているが、掛け声倒れに終わるという見方が強い。

集会には約100人が参加し、「日本は過去を謝罪しろ」などと叫んだ。韓国では近年、竹島(韓国名・独島=ドクト)の領有権問題も日本の植民地支配に結びつけて語られるようになっている。

主催者側は、不買運動には100以上の団体が参加し、会員数は計700万人だと説明した。ただし、複数の団体への重複加入もあるといい、実際の人数はもっと少なくなる。

韓国では過去にも同様の不買運動が呼びかけられたことがあるものの、実際の販売不振につながったことはないと見られている。今回の不買運動についても、ソウル市内の商工会議所関係者は「参加する商店は多くないだろう」という見方を示した。

ソウル中心部の繁華街・明洞(ミョンドン)にあるユニクロ店舗で買い物をしていた男性会社員、康智錫さん(30)は「不買運動をする人がいてもいいと思う。私は、品質が良いのでユニクロ製品をよく買っている」と話していた。

 

毎日新聞 3月1日(金)19時26分配信  

 

=================================================

 

일본 제품 불매 운동 시작 선언. 자영업자들의 단체

서울 사와다 카츠미 한국 자영업자들의 단체 1일, 다케시마의 날 (2 월 22 일) 행사 일본 정부가 시마지리 아이코 내각부 정무관 파견 것에 항의하여 일본 제품 불매 운동 시작 선언하는 집회를 서울에서 열었다. 앞으로 회원 상점에서 "일본 제품을 파는 것도 사는 것도하지 말자"라는 불매 운동을 전개하겠다고 선언하고 있지만, 구호로만   끝날 것이라는 전망이 강하다.

집회에는 100여명이 참가하여 "일본은 과거를 사죄하라" 라고 외쳤다. 한국에서는 최근 다케시마 (한국명 독도) 영유권 문제에 일본 식민지 지배까지 묶어 말하고 있다.

주최측 불매 운동 100개 이상의 단체가 참가, 회원수는 총 700만명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여러 단체 중복 가입 있다고 하고, 실제수는 적다.

한국에서는 과거에도 비슷한 불매 운동을 호소 적 있지만, 실제 판매 부진으로 이어졌다 볼 수 없는 결과였다. 이번 불매 운동에 대해서도 서울 시내 상공 회의소 관계자는 "참여하는 상점 많지 않을 것이다"라는 견해를 나타냈다.

서울 중심부 번화가인 명동에 있는 유니클로 매장에서 쇼핑하고 있던 남성 회사원, 강모 (30) "불매 운동하는 사람이 있어도 좋다고 생각한다. 나는 품질이 좋기 때문에 유니클로 제품 자주 사고있다" 고했다.

 

마이니치신문 3월1일(금)19시26분 배신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