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米韓FTA>対米輸出伸びる 農業影響は限定的…発効1年

【ソウル澤田克己】米国と韓国の自由貿易協定(FTA)が15日、発効から1年を迎える。韓国政府は14日、関税引き下げの恩恵を受けた工業品の対米輸出が伸びる一方、懸念された輸入急増による国内農業への打撃は限定的だったとする統計を公表した。

 発効から今年2月末までの対米貿易は、輸出が前年同期比1.4%増、輸入は同9.1%減だった。工業品では、FTAの関税引き下げ対象の自動車部品や石油製品など対米輸出が同10.4%増加。発効から4年間は関税削減の例外とされた自動車は、米国の新車市場回復を受けて同16.9%増だった。一方、米国からの輸入は、自動車など関税引き下げ品目が同4.1%増、例外品目は同20.1%減だった。

 農産品を見ると、のりや飲料、キムチなど関税撤廃品目を中心に対米輸出は同7%増の6億5000万ドル。半面、米国からの農産品輸入は同16.8%減の59億4000万ドルだった。米国での天候不順の影響でトウモロコシや肉類の輸入が減り、国産品の供給が増加したことが影響した。果実の輸入は増えたが、韓国政府は国内農家の生産調整などの措置で市場価格は安定していたと評価している。

 ただ、国内農家の反発は消えておらず、最大の農民団体「韓国農業経営人中央連合会」の金俊奉(キム・ジュンボン)会長は毎日新聞の取材に「実際は農業被害が出ているのだが、あまり注目されず残念だ」と指摘。特に畜産農家への影響は大きいとして「政府に追加の支援策を求めている」と話している。

 

毎日新聞 3月14日(木)22時12分配信  

 

=================================================

 

서울 사와다 카츠미 미국과 한국 자유 무역 협정 (FTA)이 15일, 발효 1 맞는다. 한국 정부는 14일 관세 인하 혜택을받은 공산품의 대미 수출 성장하는 한편, 우려되는 수입 ​​급증으로 인한 국내 농업 타격 제한적이었다고 통계를 공표했다.

발효부터 올해 2 월말까지 대미 무역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 % 증가, 수입 동 9.1 % 감소했다. 공산품 FTA 관세 인하 대상 자동차 부품 석유 제품 대미 수출이 10.4 % 증가. 발효 4 년간 관세 감축 예외로 한 자동차 미국 신차 시장 회복에 따른 16.9 % 증가했다. 한편, 미국으로부터의 수입 자동차 관세 인하 품목 4.1 % 증가, 예외 품목은 20.1 % 감소했다.

농산품 보면 과 음료, 김치 관세 철폐 품목을 중심으로 대미 수출은 7 % 증가한 6 5000 달러. 반면 미국 농산물 수입은 동 16.8 % 감소한 59 억 4000 만 달러였다. 미국 기후 불순 영향으로 옥수수와 육류 수입이 줄고 국산 제품의 공급 증가했던 것이 영향을 미쳤다. 과일 수입 증가했지만, 한국 정부는 국내 농가 생산 조정 조치로 시장 가격은 안정되어 있었다고 평가하고있다.

단, 국내 농가 반발 사라 않고 있고, 최대 농민 단체 "한국 농업 경영인 중앙 연합회"의 김준봉회장은 마이니치 신문 취재 "실제로 농업 피해가있는 하지만, 그다지 주목받지 않고 아쉽다 "고 지적했다. 특히 축산 농가에 미치는 영향 크다고하고 "정부 추가 지원 방안을 찾고있다"고 말했다.

 

마이니치신문 3월14일(목)22시12분 배신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