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朝鮮>中距離ミサイル、日本海側に移動か…韓国報道

【ソウル澤田克己】聯合ニュースは4日、韓国政府消息筋の話として、北朝鮮が中距離弾道ミサイル「ムスダン」とみられる物体を日本海側に移送させたことを米韓両国の情報当局が確認したと報じた。ミサイルは、鉄道で運ばれたという。米韓当局は、故金日成(キム・イルソン)主席の誕生日である15日に合わせ、北朝鮮がミサイルを発射する可能性があると見て警戒を強めている。

消息筋は「ミサイルに弾頭が装着されているかどうかは明らかではない。北朝鮮が、実際に発射するために移動させたのか、米国に見せるために移動させたのか(を判断するために)注視している」と語った。

北朝鮮の日本海側には咸鏡北道花台郡舞水端里(ハムギョンプクドファデグンムスダンリ)のミサイル発射基地がある。この基地では最近、発射台の工事や09年以降使われていない発射台の改修工事が行われている。「ムスダン」は、射程2500~4000キロと推定される中距離弾道ミサイル。10年10月の軍事パレードで公開された。

 

毎日新聞 4月4日(木)11時47分配信  

 

=================================================

 

<북한> 중거리 미사일, 동해로 이동 하나... 한국 보도

서울 사와다 카츠미 연합 뉴스는 4일 한국정부 소식통을 인용, 북한이 중거리 탄도 미사일 '무스단' 로 보이는 물체 일본해로 이송시킨 것을 한미 양국 정보 당국이 확인 했다고 보도했다. 미사일은 편승 되었다고한다. 한미 당국은 김일성주석의 생일인 15일에 맞춰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 있다고 보고 경계를 강화하고있다.

소식통은 "미사일 탄두 장착되어 있는지 분명하지 않다. 북한이 실제 발사하기 위해 이동했는지, 미국 보여주기 위해 이동했는지 ( 판단하기 위해) 주시 하고있다 "고 말했다.

북한 동해에는 함경북도  대군 무수단리의 미사일 발사 기지가 있다. 기지는 최근 발사대 공사와 2009 이상 사용되지 않은 발사대 리노베이션 공사를 진행하고있다. "무스단" 사거리 2500 ~ 4000 ㎞로 추정되는 중거리 탄도 미사일. 2010년 10월 군사 퍼레이드에서 공개되었다.

 

마이니치신문 4월4일(목)11시47분 배신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단독]‘사라진 엄마들의 돈’… 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 그 후
[편집자주] 지난 2017년 6월 유아용 매트를 사용하던 아이가 잔기침을 하고 두드러기가 생겼다는 글이 인터넷 맘카페를 통해 확산되면서 대한민국 엄마들의 공분을 샀던 일이 있었다. 바로 ‘보니코리아의 아웃라스트 사태(이하 보니 사태)’다. 당시 한국기술표준원(www.kats.go.kr)은 유해성 논란이 불거지자 ‘리콜’을 권고했다. 하지만 보니코리아 홍성우 대표는 ‘재고 소진 후 환불하겠다’는 대응을 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유해성 의혹을 받고 있는 제품을 끝까지 팔아치우려는 비양심적 기업이라는 비난이 들불처럼 번진 탓이다. 결국 소비자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이에 홍 대표는 ‘제품의 환불 및 리콜과 관련해 법적 절차에 따라 모두 처리할테니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홍 대표의 사과 이후 4년째, 기회를 달라던 홍 대표와 그의 환불 약속은 세월과 함께 종적을 감췄다. <kjtimes>는 월매출 수십억원을 올리며 급성장하던 회사가 보니 사태 직후 선량한 소비자들을 왜 피해자 상태로 방치하게 됐는지,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그리고 종적을 감췄던 홍성우 전 대표와 최근 혜성처럼 나타난 유아용품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