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強まる反日 安倍首相発言に一斉反発 「円安から歴史認識まで不快」

【ソウル=加藤達也】安倍晋三首相が23日の国会質疑で「侵略の定義は国によって異なる」との趣旨の発言をしたとして韓国の政府、政界、メディアは24日、一斉に反発した。

聯合ニュースによると、与党セヌリ党の黄祐呂(ファン・ウヨ)代表は同日の党幹部会で「(日本の)帝国主義的侵略についての日本政府の立場が明らかになった」とし、靖国神社に日本の国会議員らが参拝することを「国際的に議論し、規定するときだ」と主張。国際世論戦に持ち込む考えを示した。

さらに同党の沈在哲(シム・ジェチョル)最高委員は「円安から歴史認識に至るまで、日本の行動は不快感を与えている」と非難。「アジア各国と共同対応する必要がある」などと述べた。

メディア報道も激しい非難を浴びせた。中央日報(24日付)は「安倍、日帝侵略事実も否定」とする見出しを1面トップで掲載、聯合ニュースは、安倍首相発言を「妄言」とし、「北東アジアの外交構図に影響する」と解説した。

政府からは尹炳世(ユン・ビョンセ)外相が安倍首相に対し「責任ある指導者なら正しい歴史認識を持ち行動に移すべきだ」と求めた。外務省の金奎顕(キム・ギュヒョン)第1次官も国会で「安倍内閣の歴史認識は疑わしく、深く遺憾だ」と批判。一方で、尹外相の訪日取りやめに関して、北朝鮮問題など共同対処が求められる案件については「他の外交チャンネルで協力の仕方を模索する」とし、別問題として臨む姿勢を見せた。

一方、朴槿恵(パク・クネ)大統領は24日、青瓦台(大統領府)での韓国メディア幹部との昼食会で「(日韓関係は)基本的に協力関係でゆかねばならない」とし、「歴史認識が正しく確立されることが前提だ」と強調した。さらに「(日本の)右傾化は北東アジアのみならずアジア全体との関係を難しくし、日本にも望ましい方向ではない。深く慎重に考えてほしい」と述べた。

 

産経新聞 4月25日(木)7時55分配信  

 

=================================================

 

한국,  강해지는 반일. 아베 총리 발언에 일제히 반발 "엔화 약세부터 역사 인식까지 불편"

【서울 = 카토 타츠야】 아베 신조 총리가 23일 국회 질의에서 "침략의 정의는 나라마다 다르다" 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며 한국 정부, 정치권, 언론은 24일 일제히 반발했다.

연합 뉴스에 따르면 새누리당의 황우여 대표는 이날 당 간부회에서 "(일본) 제국 주의적 침략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입장이 밝혀졌다" 며 야스쿠니 신사에 일본의 국회의원들이 참배하는 것을 "국제적으로 논의하고 규정 할 때" 라고 주장하며, 국제 여론전으로 몰고갈 생각을 나타냈다.

또한 같은 당의 심재철 최고 위원은 "엔화 약세에서 역사 인식에 이르기까지 일본의 행동은 불쾌감을 주고있다" 고 비난했다. "아시아 각국과 공동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 라고 말했다.

언론 보도도 심각한 비난을 퍼부었다. 중앙 일보 (24일자)는 "아베, 일제 침략 사실도 부정" 이라고 하는 표제를 1면 톱으로 게재, 연합 뉴스는 아베 총리 발언을 "망언" 이라며 "동북아 외교 구도에 영향을 줄 것" 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윤병세 외무장관이 아베 총리에 대해 "책임있는 지도자라면 올바른 역사 인식을 가지고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 고 요구했다. 외무부의 김규현 제 1 차관도 국회에서 "아베 내각의 역사 인식은 심히 유감 스럽다" 고 비판. 한편, 윤장관의 방일 취소에 대해 북한 문제 등 공동 대처가 요구되는 안건에 대해서는 "다른 외교 채널 협력 방법을 모색 할 것" 이라며 다른 문제로 임하는 자세를 보였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24일 청와대에서 갖은 한국 언론 간부와 오찬에서 "(한일 관계는) 기본적으로 협력 관계를 추구해야 한다" 며 "역사 인식이 제대로 확립되는 것이 전제" 라고 강조했다. 또한 "(일본의) 우경화는 동북아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체와의 관계를 어렵게 하고 일본에도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다. 깊이 신중하게 생각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산케이신문 4월25일(목)7시55분 배신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