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土壇場の撤収妨害…韓国は当面強硬対応

【ソウル=中川孝之】北朝鮮南部の「開城(ケソン)工業団地」から29日、撤収予定だった韓国政府関係者ら50人のうち、北朝鮮が7人の帰還を許可しない措置を取ったのは、韓国に対する揺さぶりの一環とみられる。

北朝鮮の一方的な立ち入り禁止措置から始まった今回の事態に、韓国の朴槿恵(パククネ)政権は全員撤収の完了後も譲歩しない構えで、南北の決裂状態が長期化する可能性がある。

韓国統一省などによると、韓国人50人は29日午後5時に帰還予定だったが、北朝鮮は同9時頃、7人を不許可とすると通告してきた。

北朝鮮はこれまで、韓国人撤収について、身辺の安全など「全ての人道主義的措置」について「我々が責任を持って講じる」と表明していた。土壇場になって妨害措置を取った形だ。

北朝鮮の労働新聞は29日、「(韓国が)団地を完全閉鎖の危機に陥れた」と責任を転嫁してみせた。韓国の対応次第で「決定的な措置を取る」とも主張しており、韓国人全員の撤収が完了しても、同団地への軍の進駐に踏み切るなど、一層の揺さぶりをかける恐れもある。

これに対し、朴政権は、「北朝鮮の誤った行動に対価を与えない」との方針のもと、当面は強硬対応を続ける構えだ。

 

読売新聞 4月30日(火)8時13分配信  

 

=================================================

 

북한, 막판 철수 방해 ... 한국은 당분간 강경 대응

서울 = 나카가와 타카유키 북한 남부 '개성 공단' 에서 29일 철수 예정이었던 한국 정부 관계자 등 50 명 가운데 북한이 7명의 귀환 허용하지 않는 조치를 취했다는 것은, 한국에 대한 흔들기의 일환으로 보인다.

북한의 일방적인 출입 금지 조치에서 시작된 이번 사태로 한국 박근혜 정권은 전원 철수를 완료한 후에도 양보하지 않는 자세로 남북 결렬 상태가 장기화 할 가능성이있다.

한국 통일부 등에 따르면 한국인 50명은 29일 오후 5시 귀환 예정 이었지만, 북한은 같은날 9시경 7명을 불허한다고 통보 해왔다.

북한은 그동안 한국인 철수에 대한 신변 안전 "모든 인도주의적 조치" 에 대해 "우리가 책임을 지고 강구한다 " 고 표명했지만,  마지막 순간에 방해 조치를 취한 모양이다.

북한 노동 신문은 29일 "(한국이) 단지를 완전 폐쇄의 위험에 빠뜨렸다" 고 책임을 전가 하는듯한 내용을 보도했다. 한국의 대응에 따라서 "결정적인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고 주장하고, 한국측의 전원 철수가 완료되어도 단지에 군 주둔을 단행 한층 더 큰 흔들기를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박 정권 "북한의 잘못된 행동 대가를 주지 않는다" 는 방침 아래, 당분간은 강경 대응 계속 계획이다.

 

요미우리신문 4월30일(화)8시13분 배신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