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大統領 原子力協定、改定に意欲 米は難色示す

米韓両国は4月下旬、2014年に失効予定だった原子力協定の期限を2年延長した。協定により、韓国は米国の同意なしでは使用済み核燃料の再処理やウラン濃縮ができず、朴槿恵大統領は改定に意欲を示しているとされる。ただ、米国は核不拡散の観点から難色を示している。

原発の出力量で世界第5位の韓国は毎年9千億ウォン(約810億円)を投じ、濃縮ウランを海外から購入。国内の使用済み核燃料の保管施設も24年には飽和状態になるという。

韓国では70年代に当時の朴正煕(パク・チョンヒ)大統領がプルトニウムを抽出する核燃料再処理工場の建設に秘密裏に乗り出し、米国側の強い反対で断念したとされ、米国側の疑念は根深いとの見方もある。

北朝鮮が核兵器開発を進める中、韓国では一部の政治家らの間で核武装論も盛んになっており、核保有に前向きな世論も増えている。(水沼啓子)

 

産経新聞 5月5日(日)7時55分配信  

 

==================================================

 

한국 대통령, 원자력 협정 개정에 의욕. 미국 난색 표시

한미 양국은 4월 하순, 2014에 만료 예정이었던 원자력 협정 기한 2 연장했다. 협정에 따라 한국은 미국 동의없이 사용 후 핵연료 재 처리 우라늄 농축 을 할 수 없으며, 박근혜 대통령은 개정 의욕을 보이고 있다고한다. 다만 미국 핵 비확산 관점에서 난색을 표하고있다.

원전 출력에서 세계 5 위 한국은 매년 9 천억원 ( 810 억엔)을 들여 농축 우라늄을 해외에서 구입. 국내 사용 후 핵연료 저장 시설 2024년에는 포화 상태가 된다고한다.

한국에서는 1970년대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플루토늄을 추출하는 핵연료 재 처리 공장 건설 비밀리에 나서 미국측의 강한 반대 포기한바 있다는 내용이 있어, 미국측 의구심 뿌리 깊다라는 견해도있다.

북한이 핵무기 개발을 추진 중에 한국에서는 일부 정치인들 사이에서 핵무장론 활발하게 회자되어, 핵 보유에 긍정적 인 여론도 늘고있다. (미즈누마 케이코)

 

산케이신문 5월5일(일)7시55분 배신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