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이기범 기자]지난 11일 새벽 다시 한번 보조금 대란이 일어났다.
이동통신사들의 보조금 경쟁으로 아이폰5s, 갤럭시S3, 갤럭시S4 LTE-A 등의 스마트폰이 10만원 내외의 할부원금에 팔린 것. 심지어 일부 최신 기종의 스마트폰은 공짜폰으로 전락하기도 했다.
어찌보면 소비자입장에서는 저렴한 가격에 스마트폰을 구입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일 수도 있다. 하지만 최근에 스마프폰을 정상가격 즉, 방송통신위원회에서 허용하고 있는 보조금 상한선인 27만원만 지원을 받고 구입한 소비자는 억울한 상황이다.
지난 12월에 갤럭시 노트3를 구입한 한 소비자는 "불과 3개월전에 100여만원을 주고 구입한 스마트폰이 이제는 10만원대"라며 "바보가 된 기분이다"라고 말했다.
또 아직 교체할 시기가 되지 않은 최신 스마트폰을 사용중인 소비자도 보조금 대란을 이용해 충동적으로 추가구매를 하면서 기존의 스마트폰을 중고로 팔거나 사용하지 않아 심각한 자원낭비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남긴 이번 211사태에 대해 해당 통신사들은 경쟁사에 책임을 넘기기 급급할 뿐 스스로의 문제를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다.
경쟁사가 먼저 보조금을 추가 지급하면서 가입자수 유지를 위해 어쩔 수 없이 보조금을 추가 지급했다는 것이 그 이유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불똥은 방통위로 튀어 방통위의 향후 행보에 많은 이목이 쏠리고 있다.
방통위는 과잉 보조금 경쟁을 벌인 이통사에 대해 영업정지나 과징금 부과등의 제재를 가할 방침이라고 밝힌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