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日츠루가 원전에서 방사능 농도 상승

日本原子力発電は2日、敦賀原発2号機(福井県敦賀市)で、1次冷却水の放射性物質の濃度が前回測定値より大きく上昇したと発表した。燃料から放射性物質が漏れた疑いがあり、同社は原子炉を手動停止して原因を調べる。周辺環境への影響はないとしている。共同通信が同日、報じた。

 

日本原電によると、濃度上昇が確認されたのはヨウ素133と希ガス。4月26日の前回測定時は1立方センチ当たりヨウ素133が2・1ベクレル、希ガスが5・2ベクレルだったが、2日の測定では4・2ベクレル、3900ベクレルにそれぞれ上昇した。炉心にある燃料棒の被覆管に微小な穴(ピンホール)が開くなど、損傷した恐れがあるとみている。

 

原子炉等規制法に基づき同社は、ヨウ素131が4万ベクレルに達すると原子炉を止めると規定。2日の数値はこれを大きく下回っているが、福島第1原発事故を受け、慎重を期したという。

 

同社は3日のヨウ素131の測定結果をみて停止時期を判断、停止までは測定回数を週1回から1日1回に増やして監視する。

 

2号機の次回定期検査は9月2日からの予定だった。

 


한국어

 

동해에 인접한 일본 원자력발전소 원자로의 냉각수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 농도가 갑자기 상승했지만, 외부 환경에 대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후쿠이(福井)현 쓰루가(敦賀)시의 쓰루가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는 일본원자력발전㈜은 2일 쓰루가 원전 2호기의 냉각수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 농도가 상승했다고 밝혔다.

  

일본원전에 따르면 냉각수 안의 방사성 물질인 제논(Xe)-133 농도가 지난달 26일 1㎤당 5.2베크렐(㏃)에서 이날 3천900㏃/㎤로 치솟았다.

  

방사성 요오드-133은 2.1㏃/㎤(4월26일)에서 4.2㏃/㎤로 올라갔다.

  

일본원전 홍보실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어떤 이유에선가 연료봉을 둘러싼 피복관에 구멍이 뚫려 방사성 물질이 새어나왔을 개연성이 있다"며 "일주일 간격인 샘플링 검사를 매일 할 예정이다. 원자로를 수동 정지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일본원전은 또 "이번 일로 주변 환경에 대한 방사능 영향은 없다"고 덧붙였다.

  

쓰루가 2호기는 1987년 2월17일 상업운전에 들어간 가압수형 경수로이고, 전기 출력은 116만㎾이다. 1986년 시운전 도중에도 연료봉 피복관에 구멍이 뚫려 방사성 물질이 냉각수로 새어나온 적이 있다고 일본원전 측은 설명했다.


kjtimes日本語ニュースチーム/news@kjtimes.com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