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한일 철강업계, 대지진 후 협력안 협의

韓国と日本の鉄鋼業界は23日、ソウル市内のホテルで第12回韓日民間鉄鋼協議会を開き、東日本大震災後の状況を踏まえた協力案について議論した。 
 
協議会では、ステンレス市場の供給過剰を議論。反ダンピング(不当廉売)輸出などの不公正貿易をしない交易環境づくりを目指し、協力関係を構築することで一致した。昨年の世界のステンレス生産は前年比25%増の3068万トンに達し、供給過剰となっている。 
 
また大震災の生産ライン停止から日本の鉄鋼メーカーは生産を再開したが、今後の需要減少に備えて韓日が協力していく案も議論した。 
 
このほか温室効果ガスの削減の関連情報共有や技術の共同開発などでも協力を強化していくことも確認した。

聯合ニュース



한국어

한국과 일본의 철강업계는 23일 오전 서울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제12차 '한일 민관 철강협의회'를 열어 일본 대지진 이후 철강산업의 흐름을 짚고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양국 관계자들은 특히 세계 스테인리스 시장이 공급과잉이므로 상대국에 대한 반덤핑 수출 등 불공정 무역이 없도록 건전한 교역환경 조성에 유의하고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데에도 힘을 쏟기로 했다.

지난해 세계 스테인리스 조강생산은 3천68만t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공급과잉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 신일본제철 등 지진 피해로 생산라인을 멈췄던 일본 주요 철강업체들이 가동을 재개했지만 향후 철강수요가 위축될 경우 공존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해 협력하자고 의견을 모았다.

양측은 이와 함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관련정보를 공유하고 공동 기술개발에 나서는 등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철강업은 한국의 경우 전체 온실가스 배출에서 13%, 일본은 15%를 차지할 정도로 온실가스 배출이 심각한 업종이다.

연합뉴스

kjtimes日本語ニュースチーム/news@kjtimes.com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