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국경절 연휴기간인 1∼7일 한국에서 16만4000명이 3억7000만 달러(약 3970억원)를 쓴 중국 관광객 '요우커'(遊客)는 면세점과 백화점에선 패션상품과 액세서리, 화장품 등을, 대형마트에서는 과자와 김 등 먹을거리를 주로 구매했다.
롯데면세점은 올해 국경절 중국인 매출이 35% 가량 늘어난 가운데, 상품군별로 패션, 액세서리, 화장품, 전자 제품 등의 신장세가 두드러졌다고 12일 밝혔다.
면세점 쇼핑에 나선 중국인 고객의 취향은 대체로 수입 고가제품 중심이었지만, 자신이 필요로하는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하려는 성향도 일부 나타났다.
우선 패션 해외 고가명품 카테고리에서는 루이뷔통이 지난해 국경절 매출 1위였던 샤넬을 제치고 선두를 탈환했다.
버버리와 구찌가 3∼4위를 유지한 가운데, 5위는 최고가 브랜드인 에르메스가 지난해 8위에서 3계단을 뛰어 올랐다.
화장품 매출 순위에서도 1위와 2위가 바뀌었다. 전통적으로 선두를 유지해온 설화수가 2위로 밀려나고, LG생활건강의 후(后)가 선두로 치고 나왔다.
올해 국경절 요우커의 백화점 쇼핑에서 두드러진 것은 '가치소비'의 등장이다. 지난해 여유법 시행 이후 개별 관광객이 늘어난데다, 선호하는 상품군이 다양해진 탓이다.
롯데백화점은 1∼7일 중국인 매출을 분석한 결과 매출 순위 1위는 패션 브랜드 MCM이, 2위는 시계 브랜드 바쉐론 콘스탄틴, 3위는 까르티에, 4위는 예거 르쿨트로, 5위는 샤넬이 차지했다.
이어 스트리트 브랜드로 시작한 스타일난다가 6위, 7위는 화장품 브랜드 설화수, 8위는 프라다, 9위는 모조 에스핀, 10위는 LG생활건강의 화장품 브랜드 후였다.
온라인 쇼핑몰 브랜드나 스트리트 브랜드, 중저가 화장품 브랜드,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상품을 판매하는 브랜드 등 선호 브랜드가 점차 다양해졌다.
이런 가운데 요우커의 객단가는 2012년 100만원에서 지난해 90만원, 올해는 65만원으로 계속 줄고 있다.
상품군별 구성비로 살펴보면 가치소비 트렌드는 더욱 뚜렷해진다.
지난해 국경절 상품군별 구성비를 보면 여성이 29.28%, 해외명품 24.41%, 잡화 16.07%, 남성패션 4.97%, 화장품 3.67%, 식품 1.34%였는데, 올해는 여성 35.97%, 해외명품 21.70%, 잡화 13.87%, 남성패션 10.46%, 화장품 7.05%, 식품 5.20%으로 나타났다.
잡화(핸드백, 스카프, 장갑 등)와 명품군은 약세인 반면, 중저가 화장품, 식품, 남여 패션의류 상품군은 강세를 인 것이다.
이완신 롯데백화점 마케팅부문장은 "지난해 10월 여유법 시행 이후 단체 관광객이 줄고 개별 관광객이 늘면서 자신만의 브랜드 상품을 구매하려는 요우커가 급증했다"며 "과거 중국인들은
명품, 화장품, 여성 정장 상품군을 선호했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상품군의 여러 브랜드로 분산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먹거리 쇼핑 위주의 대형마트에서는 일부 생활용품이 요우커 매출 상위에 이름을 올렸다.
대형마트 중 유일하게 은련카드 결제액과 구매 품목을 구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롯데마트 서울역점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매출 1∼10위 목록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과자와 김 등 먹을거리가 주류였다.
그러나 올해는 국산 위생용품(생리대) 1개 품목이 전체 매출 순위 2위에, 헤어용품 1개 품목이 4위에 이름을 올려 눈길을 끌었다.
또 이마트 점포 가운데 중국인 방문객이 가장 많은 신제주점의 요우커 매출 증가율 상위 제품군 가운데는 전기밥솥(1위), 식도(2위) 등 생활용품과 함께, 홍삼(3위), 아웃도어웨어(4위) 등이 포함돼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