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쑥쑥’에 외국인·기관투자자 ‘사자’…그러면 개인투자자는?

투자패턴 ‘팔자’ 경향 강해…추세 강한 종목 찾아 매매해야

[KJtimes=김바름 기자]서울 동작구에 사는 김민석(33회사원). 그는 최근 주가가 오름세를 보이면서 고민에 빠졌다.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주가가 오르고 있기는 한데 더 사 모아야 하는지, 다 팔아서 차익을 챙겨야 하는지 판단이 서지 않아서다. 고민하던 김씨는 결국 차익을 챙기기로 하고 보유 주식을 처분했다.

 

경기도 부천에 거주하는 주부 강성심(41)씨도 며칠 전 가지고 있던 주식을 팔았다. 10% 정도 수익을 챙기면서 만족해야 했다. 내심 계속 유지하고 싶었지만 자신이 없었다. 주가가 꺾기라도 하면 속이 쓰릴 것 같아 결단을 내리고 팔자행렬에 동참했다.

 

개인 투자자의 투자 행태가 시장 흐름에 역행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주가가 오르면 개인 투자자는 내다 파는 경향이 강한 반면 외국인이나 기관 투자자는 오히려 매집에 나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융정보업체 와이즈에프엔이 올해 유가증권시장의 수익률 상위 20개 종목의 매매 동향을 살펴본 결과에서 드러났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개인은 연초부터 지난달 29일까지 총 7363000만원 어치를 순매도했다. 반면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6857000만원과 5059000만원 어치를 순매수했다.

 

일례로 올해 들어 지난달 29일까지 415.41%의 수익을 낸 대림B&Co[005750]의 경우 개인은 1087000만원의 매도 우위를 보였다. 하지만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924000만원과 172000만원의 매수 우위를 나타냈다. 한미약품[128940](연초대비 수익률 273.53%)의 경우에도 개인이 6486000만원 어치를 내다파는 동안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4928000만원과 2158000만원 어치를 사들였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수익률 하위 20개 종목에서는 이와는 정반대의 경향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올해 들어 주가가 23.07% 하락한 NHN엔터테인먼트[181710]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8861000만원과 438억원 어치를 순매도하는 동안 개인은 9462000만원 어치를 순매수했다.

 

만도[204320](-17.71%)도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7933000만원과 1947000만원의 매도 우위를 보였다. 반면 개인은 8028000만원의 매수 우위를 보였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별반 다르지 않다. 연초 대비 수익률 상위 20개 종목에서 개인은 총 1억원을 순매수하는데 그친 반면 기관과 외국인은 48억원과 287억원 어치를 순매수했다. 수익률 하위 20개 종목에선 개인이 2406억원의 매수 우위를 보였다. 이들 종목에서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1877억원과 295억원의 매도 우위를 보인 것과 대조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투자패턴에 대해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에 비해 정보나 자금력이 부족한 개인 투자자가 종목별 실적 개선이나 성장성보다 단기간 주가를 보고 주로 투자를 결정하기 때문에 빚어지는 현상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개인투자자들의 경우 쉽지는 않지만 일시적인 투자를 하기보다 추세가 형성될 수 있는 종목을 찾아 매매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이 같은 투자 행태를 유지할 경우 중장기적으로 큰 이익을 얻기는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