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盧前大統領が指示と証言 '独島に日本船来たら壊せ'

故盧武鉉韓国前大統領が在任時の2006年4月、「もし日本の測量船が独島(竹島)に来たら、(韓国側の)船をぶつけて壊せ」と指示していたと、当時の大統領府高官が証言していることが19日分かった。指示を受け、海洋警察庁は「万全の準備」を整えたという。

 大統領府政策室長だった金秉準氏の証言が「盧武鉉財団」のホームページに掲載された。

 当時、韓国は竹島周辺の海底の韓国名表記を国際会議で提案しようとしていた。これに対し、日本は竹島周辺の日本の排他的経済水域(EEZ)の海洋調査に向け、海上保安庁の測量船を海上に待機させ、両国間の緊張が高まっていた。

 その後、外務次官協議で妥協が成立し、海洋調査は見送られた。 

"노 전 대통령 '日 탐사선 독도오면 부숴라' 지시"

최근 한ㆍ일 양국이 독도문제로 민감한 가운데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재임 시절 '일본 탐사선이 독도에 오면 부숴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증언이 나왔다.

'사람사는 세상 노무현 재단'은 지난 17일 홈페이지에 '노 대통령의 '독도 연설', 김병준 실장의 증언'이란 제목으로 참여정부 청와대 김병준 전 정책실장의 증언을 실었다.

김 전 실장은 "2006년 4월 독도 문제가 불거지자 노 대통령이 이례적으로 특별담화를 통해 독도수호 의지를 밝혔다"며 "만약 일본 탐사선이 독도에 오면 당파(배로 밀어 깨뜨리는 것)하라고 지시했다"고 소개했다.

이 같은 노 전 대통령의 지시에 "해양경찰청도 만반의 준비를 했다"는 보고를 했다고 김 전 실장은 덧붙였다.

그는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독도는 우리 땅입니다. 그냥 우리 땅이 아니라 40년 통한의 역사가 뚜렷하게 새겨져 있는 역사의 땅입니다...'로 시작하는 이 연설은 역대 정부 중 처음으로 대일외교 현안을 놓고 분명한 입장을 밝힌 것이다"며 "대통령이 직접 문구를 작성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대국민 담화가 나가자 한 여론조사기관은 94.6%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악의적인 언론들은 노 대통령의 강경대응이 '긁어 부스럼을 만들었다'고 폄하했다"고 당시 반응을 소개하기도 했다.

김 전 실장은 참여정부가 우리나라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내에 있는 동해바다 해저지명을 국제수로기구에 등재하려는 시도도 있었다고 소개했다.

김 전 실장은 "일본은 EEZ 안의 주요 지형에 일본 이름을 붙여 등재하고 있었다"며 "우리가 '이사부 해산'으로 부르는 독도 인근 해산과 '울릉분지'로 부르는 울릉도 해저분지는 이미 '순요퇴'와 '쓰시마 분지'라는 일본 이름으로 통용시키고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정부가 (동해바다 지명을) 등재하겠다고 하니 일본은 외교채널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고 급기야 독도 주변에서 해양조사를 하겠다고 나섰다"며 "2006년 4월 18일 일본 해양보안청 해양탐사선 두 척이 독도를 향해 출항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노 대통령이 담화문을 작성하는 동안 급하게 양국간 타협이 이뤄졌다"며 "외교차관 회담을 통해 일본은 탐사계획을 중단했다"고 김 전 실장은 당시의 급박했던 외교상황을 전했다.

김 전 실장은 "해저지명 등재 시도에 따른 갈등이 있은 뒤 14개의 영해 밖 해저지명 중 10개는 2007년 7월 국제수로기구 해저지명소위원회를 통과해 등재됐다. '노무현 외교'의 산물이었다"고 증언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