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증권사들이 ‘목표주가’ 내리고 있는 까닭

메리츠종금증권•IBK투자증권•KTB투자증권 ‘가세’

[KJtimes=김승훈 기자]SK하이닉스[000660]에 대해 증권사들의 목표주가가 하향조정되고 있는 분위기다.

 

23일 메리츠종금증권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기존 55000원에서 49000원으로 하향조정했다. D램 경쟁 확대로 수익성이 저하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박유악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인텔과 웨스턴디지털의 시장 진입으로 업체 간 3D 낸드 반도체 경쟁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SK하이닉스의 D램 수익성이 예상보다 부진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박 연구원은 “3분기 매출액은 전분기보다 6% 증가한 49000억원, 영업이익은 1% 증가한 13800억원으로 기대치에 부합했다면서 “4분기는 매출액은 3분기보다 7% 감소한 46000억원, 영업이익은 18% 감소한 11100억원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이날 IBK투자증권도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종전 46000원에서 43000원으로 내렸다. 그러면서 중장기 불확실성이 확대됐으며 최근 중국와 인텔의 행보도 SK하이닉스를 위협하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승우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실적은 기대 수준에 부합했지만, 4분기와 내년 상반기에는 매출의 75%를 차지하는 D램 업황의 부진으로 매출과 이익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중국의 칭화유니그룹(紫光集團·쯔광그룹)의 샌디스크 간접 인수가 당장 낸드(NAND) 산업의 구도를 바꾸진 않겠지만 중장기적인 위험변수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연구원은 중국이 예상보다 훨씬 빠르고 공격적으로 메모리 산업에 발을 담그고 있고 인텔도 중국 대련 팹을 낸드 팹으로 전환하기로 하는 등 메모리 반도체 산업을 환경을 둘러싼 환경이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같은 날, KTB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기존 54000원에서 41000원으로 24% 하향조정하는 한편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또 올해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를 기존 1950억원에서 1180억원으로 낮추고 내년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도 9510억원에서 8680억원으로 내렸다. D(DRAM) 업황이 예상보다 부진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진성혜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시장에선는 4분기 PCD램 가격이 10% 초반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10% 후반 하락한 것으로 파악된다인텔이 중국 대련 팹의 3D 낸드(NAND) 전환 투자계획을 발표한데다 칭화유니도 우회적인 방법으로 샌디스크를 인수해 시장에 진입했고 결국 낸드 업체가 4개에서 6개로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진 연구원은 낸드는 시장 초기부터 4개 업체의 과점 구조를 지속해왔으나 신규 업체 진입으로 과거 D램과 같은 경쟁 구조가 형성됐다면서 실적 악화와 대규모 설비투자 집행이 필연적으로 수반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공유경제 위기와 도전]中 자전거 공유 스타트업 ‘헬로’…자국 시장 공략 집중 성장 발판
[KJtimes=김승훈 기자]중국 공유 자전거 업체 헬로추싱이 미국 증시 상장까지 추진하고 있을 정도로 급부상하고 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헬로추싱은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업공개(IPO) 신청서를 냈다. 올해 2분기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2016년 상하이에서 ‘헬로바이크’란 공유 자전거 서비스로 출발한 헬로추싱은 현재 대표인 양레이가 28세에 공동 창업했으며 일정 금액을 내면 자신이 원하는 만큼 자전거를 대여해 운용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전자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와 협업한 헬로추싱은 알리페이와 연동돼 있어 회원가입 없이 스캔 한 번만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현지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헬로추싱은 2018년 중국 자전거 공유업체 1·2위 업체였던 오포와 모바이크가 추가 투자 유치 실패와 중국 정부의 공유 자전거의 수량 제한 등의 이유로 경영난을 겪을 때 알리바바에서 투자를 받으며 급성장했다. 오포가 전 세계로 눈을 돌리며 사업을 확장할 때 헬로추싱은 자국 시장 공략에 집중한 덕분도 있다. 당시 헬로추싱의 기업 가치는 1조65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중국의 400개 이상 도시에서 운영되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단독]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 그 후'… 혜성처럼 나타난 ‘돗투돗‧(주)태린
[kjtimes=견재수 기자]지난 2017년 6월 ‘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보니 사태)’ 이후 유아용품업계는 거대한 폭풍이 휩쓸고 간 듯했다. 베이비페어가 열릴 때마다 발 디들 틈조차 없었던 행사장의 모습을 언제 다시 볼 수 있을지 요원한 일이었다. 보니 사태가 유아용품업계에 준 영향력이 그만큼 컸다는 얘기가 여기저기서 나왔다. 특히 홍성우 보니코리아 전 대표의 환불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것을 두고 유아용품업계 전반에 걸쳐 신뢰도를 추락시킨 사건이라는 지적도 많았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한 소비자는 “당시 인기가 많았던 회사가 그런 식으로 대처하니 엄마들 사이에서는 아기 제품을 파는 다른 회사까지 불신하는 분위기가 확산된 것 같다”고 말했다. 유아용품업계 한 관계자도 “최근 5년간 베이비페어 분위기는 보니 사태 전과 후로 구분된다”면서, “보니 사태 전까지 베이비페어에 고객들이 북적거렸는데, 아웃라스트 문제가 터진 후 유아용품 행사에 대한 관심도 떨어지고 전반적으로 침체된 것 같다”고 전했다. 혜성처럼 나타난 ‘돗투돗’과 ‘㈜태린’ 이 같은 상황에서 인스타그램을 통해 혜성처럼 나타난 회사가 있다. 바로 돗투돗(대표 송영환), ㈜태린(대표 김태린)

나문희, 윤여정, 강부자···MZ세대까지 사로잡아 유통업계 다시 부는 ‘시니어 모델’ 열풍
[KJtimes=김봄내 기자]최근 유통업계에서 시니어 모델 열풍이 불고 있다. MZ세대를 타깃으로 한 브랜드들이 발상의 전환으로 시니어 모델을 기용,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과 OB맥주, 지그재그 등 주요 유통·식음료 기업들은 최근 시니어 모델을 기용한 광고로 MZ세대들로부터 화제의 중심이 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MZ세대 대표 간편식인 햇반컵반의 새 모델로 배우 나문희를 발탁하고 탐정이 된 나문희가 햇반컵반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추리형 콘텐츠 '명탐정 컵반즈'를 선보였다. 1020 여성 쇼핑플랫폼 지그재그는 한예슬의 후속 모델로 윤여정을 모델로 발탁하며 화제를 모았다. 지난 12일 공개한 티저 영상 속 윤여정이 '근데 나한테 이런 역할이 들어왔다. 젊고 이쁜 애들도 많은데. 근데 잘못 들어온거 아니니?'라고 말하는 모습이 공개되며 소비자 이목을 사로잡았다. 어린 여성들이 쓰는 쇼핑 앱도 나이 많은 사람이 연령에 구애받지 않고 광고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기존의 모델 공식을 깨뜨린 것. 뒤이어 공개된 광고 본편 영상에서는 '옷 입는데 남 눈치 볼 거 뭐 있니? 네 맘대로 사세요'라고 시원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