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アメリカントラック車両広告’が国内にも上陸

日本でミリアンセラー広告の技法で人を得ている‘アメリカントラック車両広告’が国内にも上陸して話題になっれいる。この技法ポスタるのではなく、電球けてくでもりやすく消費者かせるなど、好奇心こす装置っていて、日本大手企業歌手で人である。
韓日のビジネスネットワク企業であるNEXTOMOでは今月の12日からソウルの
新村と江南の周りでコカコラアメリカントラックを運行させている。大型があるアメリカントラック全体赤色をベスにしたコカコイメジでラッピングして電球クリスマスの囲気があふれ出すようにした。このが道路を走ると遠くからもすぐ目に入る。まるとサンタ格好のスタッフが人道いているにコカコラのオリジナルプレゼントやミニコラをあげたり、演奏をしてあげたりするイベントも進行する。

このイベントにして消費者の反は熱い。アメリカントラックが停車する所には人きを止めて、初めて見かける風景を見ていた。ソンサンデNEXTOMO副社長‘江南 弘大 ()などでトラックの運行をしたけれど所ごとに大勢まって、一部 スマトフォンで写真ったりしてSNS個人 ブログせたりもした言っている。
 
日本から韓まで直接トラックを持ってきて運している『古家 勝利』さんは

“日本より韓での人心が熱いと思います”、“天は寒いですが、回イベントの時、たくさんの人がてくれてすごい”と感想をえた。

 NEXTOMO今年8日本有名両広告企業であるKESION契約んでアメリカントラックを使った両広でのを獲得した。この長点とは差別性があって、諸費者注目度めたことである。

国内ではめったにかけないアメリカン先進でしかられない“カスタム文化”同時適用、アメリカントラックがっている媒体としての魅力的活用度最大かした。にアメリカントラックの両広はクライアントの要求わせて運行場所時間自由えることができるのである。また企業っている消費層直接攻略することができるので、日本では大手企業CD180万枚える歌手とかが利用する告で有名である。

ソン副社長は“企の初期段階では多くの人が心配したが、その結果は成功的だと言える事ができる”と言いながら“映でしか見られないアメリカントラック、その中でもそのカッコよさに倒するピビルト社のトラックとキラキラ光る 照明は商品の告と混じって頭のるのではないか”と自信した。グァンオヨン記者

 

 

일본에서 밀리언셀러 광고 기법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아메리칸 트럭 차량 광고'가 국내에도 상륙해 화제다. 이 광고 기법은 단순히 차량에 광고 포스터를 붙이는 것이 아니라 전구를 달아 멀리서도 눈에 띄고 소비자에게 음악을 들려주는 등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는 장치들을 갖추고 있어 일본 주요 기업과 가수들 사이에서 인기다.

한일 비즈니스 네트워크 기업인 넥스토모는 지난 12일부터 서울 신촌과 강남 일대에서 코카콜라 아메리칸 트럭을 운행하고 있다. 차량 앞부분에 대형 배기관이 있는 아메리칸 트럭 전체를 빨간색을 바탕으로 한 코카콜라 광고 이미지로 덮고 전구를 달아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물씬 나게 했다. 이 차량이 도로를 달리면 멀리서도 눈에 확 들어온다. 차량이 멈추면 산타 복장을 한 도우미들이 행인들에게 연주를 해주거나 코카콜라를 무료로 주거나 즉석해서 선물을 주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이에 대해 소비자들의 반응이 뜨겁다. 아메리칸 트럭이 정차하는 곳마다 행인들이 멈춰서서 신기하다는 듯 구경하고 있는 것. 손상대 넥스토모 부사장은 "강남·홍대·압구정·신사동 등 서울 시내 주요 거리와 서강대·연세대·건국대·상록원 등에서 트럭을 운행했는데 가는 곳마다 수많은 인파가 몰려들었다"며 "일부 행인들은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어 SNS나 블로그에 올리기도 했다"고 말했다.

일본에서부터 직접 한국에 들어와 트럭을 운행하고 있는 코게카츠토시 씨는 "일본보다 한국 사람들의 관심이 더 뜨거운 것 같다"며 "추운 날씨이지만 매번 행사 때마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고 전했다.

넥스토모는 지난 8월 일본의 유명 차량 광고 기업인 KESION과 계약을 체결하고 아메라칸 트럭 차량광고의 한국 판매 독점권을 획득했다. 이 광고의 장점은 기존 광고와는 차별성을 둬 소비자의 주목도를 높인 것. 국내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미국 차량'과 선진국에서나 볼 수 있는 '커스텀 문화'를 동시에 적용, 아메리칸 트럭의 광고매체로서의 매력적인 활용도를 극대화했다. 특히 아메리칸 트럭의 차량 광고는 상품의 요구에 맞게 운행 장소 및 시간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또 기업이 목표한 대로 주 소비층을 직접 공략할 수도 있다. 그래서 일본에서 주요 기업 및 CD발매 180만장이 넘는 판매를 기록한 가수들이 이용하는 광고로 유명하다.

손 부사장은 "기획 초기 많은 사람들이 우려했지만 그 결과는 성공적"이라며 "영화에서나 본 듯한 아메리칸 트럭, 그중에서도 웅장함이 돋보이는 '피터빌트'가 뿜어내는 아름다운 조명은 상품 광고와 어우러져 소비자들의 머릿 속에 각인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