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자동차열전] 볼보코리아, 프리미엄 SUV 정수 'XC90 R-Design(R-디자인)' 국내 출시

안전성은 기본, 다이내믹한 드라이빙과 높은 접지력·코너링·유럽풍 디자인 강화

판에 박힌 디자인을 벗고, 이전보다 다이내믹한 드라이빙 성능을 갖춘 SUV는 없을까? 진정한 SUV 마니아들은 늘 이런 생각을 품고 있다. 그렇다면 이번에 출시된 볼보 XC90 R-Design(R-디자인)을 만나보라!

 

볼보자동차는 오늘(2월 1일), 프리미엄 7인승 SUV 모델 XC90의 R-Design[R-디자인] 버전을 국내 출시한다고 밝혔다.

 

볼보 R-Design은 XC90이 갖고 있던 세단의 편안함과 여유로운 레저 성능, 넓은 실내 공간의 장점을 그대로 잇고 내외관의 디자인과 퍼포먼스를 스포티하고 다이내믹하게 변화시킨 모델이다.

 

기존 구매고객은 물론 스포츠성이 강조된 모델인 만큼 젊은 층의 관심까지 고객층의 폭을 더욱 넓힌 라인이다.

 

전용 19인치 알루미늄 휠과 스포츠 서스펜션, 안티-롤 바를 적용해 접지력을 더욱 높인 것이 특징이다. 덕분에 즉각적이고 빠른 반응을 이끌어 낼 뿐만 아니라 개선된 운동 능력은 코너 주행 시 보다 다이내믹한 드라이빙을 즐길 수 있도록 해준다.

 

더욱이 드라이빙 퍼포먼스 개선에 도움을 주는 고성능 타이어는 기본으로 적용돼 있다.

 

차량 곳곳에서는 R-Design의 다양한 변화를 만끽할 수 있다. 그동안 SUV의 투박한 디자인에 기대를 접고 성능에만 관심을 보인 오너라면 보다 세련된 유럽풍 디자인을 제대로 만날 수 있는 기회로 삼아도 될 것 같다.

 

전면 그릴에는 R-Design 배지를 배치하고, 사이드 미러는 R-Design 전용 실크 메탈릭 아웃사이드 미러 캡을 적용해 강인한 인상을 풍긴다. 또, R-Design 전용 사이드/리어 스커프 플레이트와 듀얼 트윈 머플러를 장착했으며, 여기에 루프레일과 루프랙을 기본으로 적용해 화물 적재 능력 및 활용성도 극대화했다.

 

내부 역시 R-Design 전용 스타일링이 적용되었다. R-Design 전용 블루 컬러 계기판과 천공기법으로 통기성을 향상시킨 스티어링 휠은 스포티한 인상을 가득 풍긴다.

 

여기에 차량 곳곳에 알루미늄 데코레이션을 넣어 고급스러운 느낌까지 가미했다. 시트는 R-Design 전용 세미 스포츠 버켓 시트를 탑재, 투톤 컬러의 파이핑과 스티칭으로 세련된 감각을 선사한다.

 

볼보 XC90은 강력한 성능 및 뛰어난 역동성, 세련된 유럽풍 디자인 그리고 볼보만의 독보적인 안전성 등을 갖춰 세계 최고의 SUV로 평가 받는 모델이다.

 

업그레이드 된 2,401cc 직렬 5 기통 트윈 스크롤 터보 디젤 엔진을 탑재, 출력과 토크가 각각200마력(3,900 rpm) 42.8kg•m (1,900~2,800rpm) 으로 개선되어 더욱 다이내믹한 드라이빙이 가능하다.

 

여기에 전복방지 시스템(RSC), 미끄럼 방지 시스템(DSTC) 등 볼보만의 독보적인 안전장치를 그대로 탑재했다. 볼보자동차코리아 김철호 대표는 “XC90 R-Design은 성능, 디자인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 모델”이라며, “기존 XC90의 인기를 탄력적으로 이어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kjtimes=한길 기자>

 








효성첨단소재,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선다
[KJtimes=김봄내 기자]효성첨단소재는 18일 국립생태원과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문화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서에는 효성첨단소재와 국립생태원이 서로 협업하여 생태환경 보전과 자연보호 문화 확산 활동들을 발굴하고 함께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두 기관은 첫 협력 사업으로 전주시와 함께 ‘전주물꼬리풀’ 보전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식물인 ‘전주물꼬리풀’을 전주지역에 식재하는 내용이다. 1912년 처음 발견된 전주의 지명을 따서 이름 붙여진 ‘전주물꼬리풀’은 환경파괴로 자생지가 사라져 한때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제주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이 발견돼 전주에 이식하여 복원을 진행했다. 전주에 탄소섬유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효성첨단소재가 복원사업에 발벗고 나선 까닭이다. 효성첨단소재 이건종 대표이사는 “미래세대를 위한 건강한 생태계 구축을 위해 생물다양성 보존 및 증진 활동을 적극 지지하며, 이에 동참하고자 한다”며, “생태 복원의 최일선에서 힘쓰고 있는 국립생태원과 효성첨단소재가 함께하게 되어 더욱 뜻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19일에는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5월22일)’을 기념해 효

효성첨단소재,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선다
[KJtimes=김봄내 기자]효성첨단소재는 18일 국립생태원과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문화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서에는 효성첨단소재와 국립생태원이 서로 협업하여 생태환경 보전과 자연보호 문화 확산 활동들을 발굴하고 함께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두 기관은 첫 협력 사업으로 전주시와 함께 ‘전주물꼬리풀’ 보전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식물인 ‘전주물꼬리풀’을 전주지역에 식재하는 내용이다. 1912년 처음 발견된 전주의 지명을 따서 이름 붙여진 ‘전주물꼬리풀’은 환경파괴로 자생지가 사라져 한때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제주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이 발견돼 전주에 이식하여 복원을 진행했다. 전주에 탄소섬유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효성첨단소재가 복원사업에 발벗고 나선 까닭이다. 효성첨단소재 이건종 대표이사는 “미래세대를 위한 건강한 생태계 구축을 위해 생물다양성 보존 및 증진 활동을 적극 지지하며, 이에 동참하고자 한다”며, “생태 복원의 최일선에서 힘쓰고 있는 국립생태원과 효성첨단소재가 함께하게 되어 더욱 뜻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19일에는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5월22일)’을 기념해 효

효성첨단소재,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선다
[KJtimes=김봄내 기자]효성첨단소재는 18일 국립생태원과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문화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서에는 효성첨단소재와 국립생태원이 서로 협업하여 생태환경 보전과 자연보호 문화 확산 활동들을 발굴하고 함께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두 기관은 첫 협력 사업으로 전주시와 함께 ‘전주물꼬리풀’ 보전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식물인 ‘전주물꼬리풀’을 전주지역에 식재하는 내용이다. 1912년 처음 발견된 전주의 지명을 따서 이름 붙여진 ‘전주물꼬리풀’은 환경파괴로 자생지가 사라져 한때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제주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이 발견돼 전주에 이식하여 복원을 진행했다. 전주에 탄소섬유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효성첨단소재가 복원사업에 발벗고 나선 까닭이다. 효성첨단소재 이건종 대표이사는 “미래세대를 위한 건강한 생태계 구축을 위해 생물다양성 보존 및 증진 활동을 적극 지지하며, 이에 동참하고자 한다”며, “생태 복원의 최일선에서 힘쓰고 있는 국립생태원과 효성첨단소재가 함께하게 되어 더욱 뜻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19일에는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5월22일)’을 기념해 효

효성첨단소재,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선다
[KJtimes=김봄내 기자]효성첨단소재는 18일 국립생태원과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문화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서에는 효성첨단소재와 국립생태원이 서로 협업하여 생태환경 보전과 자연보호 문화 확산 활동들을 발굴하고 함께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두 기관은 첫 협력 사업으로 전주시와 함께 ‘전주물꼬리풀’ 보전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식물인 ‘전주물꼬리풀’을 전주지역에 식재하는 내용이다. 1912년 처음 발견된 전주의 지명을 따서 이름 붙여진 ‘전주물꼬리풀’은 환경파괴로 자생지가 사라져 한때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제주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이 발견돼 전주에 이식하여 복원을 진행했다. 전주에 탄소섬유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효성첨단소재가 복원사업에 발벗고 나선 까닭이다. 효성첨단소재 이건종 대표이사는 “미래세대를 위한 건강한 생태계 구축을 위해 생물다양성 보존 및 증진 활동을 적극 지지하며, 이에 동참하고자 한다”며, “생태 복원의 최일선에서 힘쓰고 있는 국립생태원과 효성첨단소재가 함께하게 되어 더욱 뜻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19일에는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5월22일)’을 기념해 효


효성첨단소재,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선다
[KJtimes=김봄내 기자]효성첨단소재는 18일 국립생태원과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문화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서에는 효성첨단소재와 국립생태원이 서로 협업하여 생태환경 보전과 자연보호 문화 확산 활동들을 발굴하고 함께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두 기관은 첫 협력 사업으로 전주시와 함께 ‘전주물꼬리풀’ 보전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식물인 ‘전주물꼬리풀’을 전주지역에 식재하는 내용이다. 1912년 처음 발견된 전주의 지명을 따서 이름 붙여진 ‘전주물꼬리풀’은 환경파괴로 자생지가 사라져 한때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제주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이 발견돼 전주에 이식하여 복원을 진행했다. 전주에 탄소섬유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효성첨단소재가 복원사업에 발벗고 나선 까닭이다. 효성첨단소재 이건종 대표이사는 “미래세대를 위한 건강한 생태계 구축을 위해 생물다양성 보존 및 증진 활동을 적극 지지하며, 이에 동참하고자 한다”며, “생태 복원의 최일선에서 힘쓰고 있는 국립생태원과 효성첨단소재가 함께하게 되어 더욱 뜻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19일에는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5월22일)’을 기념해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