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LG유플러스, 증권사가 주목하는 진짜 이유

“삼성화재 실적 기대 이상”…“"LG유플러스 안정적 수익성 확보”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화재[000810]LG유플러스[03264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일 신한금융투자는 삼성화재의 목표주가를 35만원에서 363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이 회사가 기대 이상의 3분기 실적을 올렸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신한금융투자은 삼서화재의 경우 3분기 개별 기준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6% 증가한 3309억원으로 시장 전망치인 2203억원을 크게 웃돌았다고 설명했다.


손미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여타 2위권 회사들이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한 것을 고려하면 다소 아쉬워 보일 수 있다하지만 삼성물산[028260] 손상차손 관련 일회성 요인을 제외하면 충분히 뛰어난 실적이라고 평가했다.


손 연구원은 “4분기 이후에도 업황 호조 및 삼성증권[016360] 매각 차익(1026억원) 등과 같은 일회성 이익 반영으로 호실적이 지속될 것이라면서 이번 실적 발표 전후로 예상되던 자사주 매입 발표는 없었지만 내년 상반기 자사주 매입 재개 가능성은 여전히 크고 배당성향도 30% 수준으로 점진적인 상향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같은 날, 미래에셋증권은 LG유플러스[032640]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5000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안정적인 수익성을 확보하고 성장 가능성도 갖췄다는 평가에 기인한다.


이학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2114억원으로 시장 기대치 1800억원을 크게 웃돌았다이는 무선 부문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기가 인터넷과 미디어 부분의 호조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4분기 영업이익은 3분기보다 감소할 것이나 3분기에는 갤럭시노트7 영향으로 마케팅 비용이 낮게 책정됐지만 4분기에는 아이폰7 출시로 비용이 늘어날 것이라면서 “LG유플러스가 연간 70008000억원 수준의 안정적인 영업이익을 내는 구조를 갖췄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성장 산업으로 기대하고 있는 홈 사물인터넷(IoT) 영역도 누적가입자가 44만명을 웃도는 등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특히 IoT 전용 통신망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하면 성장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단독]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 그 후'… 혜성처럼 나타난 ‘돗투돗‧(주)태린
[kjtimes=견재수 기자]지난 2017년 6월 ‘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보니 사태)’ 이후 유아용품업계는 거대한 폭풍이 휩쓸고 간 듯했다. 베이비페어가 열릴 때마다 발 디들 틈조차 없었던 행사장의 모습을 언제 다시 볼 수 있을지 요원한 일이었다. 보니 사태가 유아용품업계에 준 영향력이 그만큼 컸다는 얘기가 여기저기서 나왔다. 특히 홍성우 보니코리아 전 대표의 환불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것을 두고 유아용품업계 전반에 걸쳐 신뢰도를 추락시킨 사건이라는 지적도 많았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한 소비자는 “당시 인기가 많았던 회사가 그런 식으로 대처하니 엄마들 사이에서는 아기 제품을 파는 다른 회사까지 불신하는 분위기가 확산된 것 같다”고 말했다. 유아용품업계 한 관계자도 “최근 5년간 베이비페어 분위기는 보니 사태 전과 후로 구분된다”면서, “보니 사태 전까지 베이비페어에 고객들이 북적거렸는데, 아웃라스트 문제가 터진 후 유아용품 행사에 대한 관심도 떨어지고 전반적으로 침체된 것 같다”고 전했다. 혜성처럼 나타난 ‘돗투돗’과 ‘㈜태린’ 이 같은 상황에서 인스타그램을 통해 혜성처럼 나타난 회사가 있다. 바로 돗투돗(대표 송영환), ㈜태린(대표 김태린)

나문희, 윤여정, 강부자···MZ세대까지 사로잡아 유통업계 다시 부는 ‘시니어 모델’ 열풍
[KJtimes=김봄내 기자]최근 유통업계에서 시니어 모델 열풍이 불고 있다. MZ세대를 타깃으로 한 브랜드들이 발상의 전환으로 시니어 모델을 기용,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과 OB맥주, 지그재그 등 주요 유통·식음료 기업들은 최근 시니어 모델을 기용한 광고로 MZ세대들로부터 화제의 중심이 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MZ세대 대표 간편식인 햇반컵반의 새 모델로 배우 나문희를 발탁하고 탐정이 된 나문희가 햇반컵반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추리형 콘텐츠 '명탐정 컵반즈'를 선보였다. 1020 여성 쇼핑플랫폼 지그재그는 한예슬의 후속 모델로 윤여정을 모델로 발탁하며 화제를 모았다. 지난 12일 공개한 티저 영상 속 윤여정이 '근데 나한테 이런 역할이 들어왔다. 젊고 이쁜 애들도 많은데. 근데 잘못 들어온거 아니니?'라고 말하는 모습이 공개되며 소비자 이목을 사로잡았다. 어린 여성들이 쓰는 쇼핑 앱도 나이 많은 사람이 연령에 구애받지 않고 광고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기존의 모델 공식을 깨뜨린 것. 뒤이어 공개된 광고 본편 영상에서는 '옷 입는데 남 눈치 볼 거 뭐 있니? 네 맘대로 사세요'라고 시원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