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장우호 기자]영종도 소재 BMW 드라이빙센터에서 ‘커넥티드카-드론-도로교통정보’를 실시간 연결하는 미래주행 기술이 펼쳐졌다. SK텔레콤과 BMW코리아는 15일 BMW 드라이빙센터에 대규모 5G 시험망을 조성하고 대중에 공개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20Gbps 이상의 속도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기지국-단말 간 1000분의 1초로 상호 통신하는 5G 시험망을 에릭슨과 공동으로 구축했으며, BMW와 5G 단말기를 탑재한 커넥티드카 ‘T5’를 공개했다.
양사는 기존 소규모 단위의 5G 시험망 운용방식을 뛰어넘어 2.6km 트랙을 커버하는 대규모 5G 통신망을 활용해 대중이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실험은 5G 시대 킬러 서비스로 평가되는 커넥티드카를 연동 및 검증했다는 점에서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단순히 수퍼컴퓨터의 장착만으로는 자동차가 주변 사물과 소통할 수 없다. 커넥티드카 구현을 위해서는 대용량 데이터를 지연 없이 주고받을 수 있는 차세대 통신망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필요한 기술이 바로 5G다.
이날 양사가 선보인 ‘T5’는 차량 간 커뮤니케이션뿐만 아니라, 도로의 신호등이나 CCTV 등으로부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 언덕이나 커브로 인해 시야가 가려진 사각지대나 사고 등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즉시 알려준다. 운전자의 시야는 차량 앞 유리창을 넘어 주행 범위 전역으로 확대되며, 예상하지 못했던 부분까지 인지하고 제어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T5’는 5G 통신망의 초고속ㆍ초저지연 특성을 바탕으로 V2X 기술과 영상인식 센서를 활용해 장애물을 피하는 것은 물론 신호등ㆍ도로ㆍCCTV 등 차량 주변 사물들과 실시간 소통하는 다채널 IoT 커뮤니케이션, 4K 멀티뷰 영상 및 360 VR 영상 송수신, 무인 조정 드론 활용 조감 시스템 등을 시연해 5G가 세상에 가져올 변화상을 보여줬다.
양사는 5G 기술과 커넥티드카 기능의 효과적인 전달과 통신 성능을 보여주기 위해 차량 추격 상황을 시연했다. 방송인 김진표 씨가 ‘T5’를 타고 실시간으로 각종 정보를 수집하며 앞 차량을 추격하는 시나리오다. SK텔레콤은 T5·신호등·CCTV·드론 등에서 받은 초고화질 영상 및 정보들을 5G 망을 이용해 행사장에 미래주행을 실시간 중계하는데 성공했다.
이형희 SK텔레콤 사업총괄은 "T5 프로젝트는 세계 최초로 5G 커넥티드카를 선보였다는 의미를 넘어,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위해 내디딘 중요한 의미를 가진 첫걸음”이라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은 이날 인텔과 개발 중인 노트북 크기의 5G 시험용 단말기를 통한 홀로그램 전송 기능을 시연했으며, 직접 5G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5G 버스도 공개했다. SK텔레콤은 향후 대중이 직접 5G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5G 버스를 운영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