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핫클릭

아워홈 등 외식업계, SNS 인증샷 열풍에 ‘메뉴 얼굴’을 바꾸다

싱카이 ‘수제왕군만두’, 오리옥스 코엑스 ‘솜사탕 아포가토’ 등 아워홈 브랜드 ‘두각’

[KJtimes=장우호 기자]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퍼지는 ‘식전 인증샷’은 이제 찍지 않는 사람을 찾기가 힘들 정도로 열풍이다.

이들이 찍은 인증샷이 SNS에서 입소문을 타고 매출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외식업계 또한 메뉴 개발 과정에서 빅사이즈 메뉴, 퍼포먼스가 가미된 메뉴 등 시각적인 재미를 더해 젊은 여심을 공략하고 있다.

먼저 빅사이즈로 시선을 사로잡는 메뉴를 살펴보면 히바린의 ‘아나고텐우동’, 싱카이의 ‘수제왕군만두’가 있다.

정통 일식 브랜드 히바린의 ‘아나고텐우동’은 붕장어 한마리를 통째로 튀겨 얹은 모습이 압권이다. 일반적인 튀김 우동이 우동에 튀김 몇 개를 곁들이는 정도였다면 이 우동은 우동 그릇보다 큰 붕장어가 우동 위에 먹음직스럽게 올려져 있다. 히바린은 40년 경력의 일본요리 장인 미야시타 쉐프의 기술과 레시피를 도입해 비주얼에 뒤지지 않는 맛도 겸했다.

아워홈의 프리미엄 중식 브랜드 싱카이의 ‘수제왕군만두’ 역시 보는 이들의 눈을 의심하게 한다. 만두 1개당 평균 길이는 21cm로 일반적인 군만두의 6배 크기다. 이 만두는 향긋한 부추와 육즙 가득한 만두소와 바삭한 만두피의 조합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시선을 끌기 위한 또 다른 전략, 퍼포먼스를 가미한 메뉴에는 더플레이스의 ‘폭탄피자’, 오리옥스 코엑스의 ‘솜사탕 아포가토’가 있다.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더플레이스의 ‘폭탄피자(Bomba Pizza)’는 검정색 반구 모양의 뚜껑 도우에 불을 붙여 활활 타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이 장면을 담은 영상들이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SNS에 퍼지며 국내외에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폭탄 피자가 인증샷의 덕을 보자 최근에는 이를 면 요리인 파스타로 변형한 후속 메뉴 '폭탄 크림 파스타'를 선보이기도 했다.

아워홈의 오리옥스 코엑스의 이색 디저트 메뉴 ‘솜사탕 아포가토’는 아이스크림에 에스프레소를 부어 먹는 디저트 아포가토 위에 솜사탕을 올린 것이 특징이다. 마치 구름 같은 솜사탕 위에 뜨거운 에스프레소를 뿌리면 솜사탕이 사르르 녹으면서 시럽처럼 변한다.

아워홈 관계자는 “신메뉴 개발 시 신기하고 재미있는 메뉴 비주얼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수시로 SNS 동향과 트렌드를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단독]‘사라진 엄마들의 돈’… 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 그 후
[편집자주] 지난 2017년 6월 유아용 매트를 사용하던 아이가 잔기침을 하고 두드러기가 생겼다는 글이 인터넷 맘카페를 통해 확산되면서 대한민국 엄마들의 공분을 샀던 일이 있었다. 바로 ‘보니코리아의 아웃라스트 사태(이하 보니 사태)’다. 당시 한국기술표준원(www.kats.go.kr)은 유해성 논란이 불거지자 ‘리콜’을 권고했다. 하지만 보니코리아 홍성우 대표는 ‘재고 소진 후 환불하겠다’는 대응을 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유해성 의혹을 받고 있는 제품을 끝까지 팔아치우려는 비양심적 기업이라는 비난이 들불처럼 번진 탓이다. 결국 소비자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이에 홍 대표는 ‘제품의 환불 및 리콜과 관련해 법적 절차에 따라 모두 처리할테니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홍 대표의 사과 이후 4년째, 기회를 달라던 홍 대표와 그의 환불 약속은 세월과 함께 종적을 감췄다. <kjtimes>는 월매출 수십억원을 올리며 급성장하던 회사가 보니 사태 직후 선량한 소비자들을 왜 피해자 상태로 방치하게 됐는지,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그리고 종적을 감췄던 홍성우 전 대표와 최근 혜성처럼 나타난 유아용품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