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스토리

LS산전, 태양광 연계 ESS 솔루션 통해 신재생 발전 사업 ‘박차’

청주사업장 2MW규모 태양광 발전 설비에 ESS 연계

[KJtimes=장우호 기자]LS산전이 자사 청주사업장에 ‘태양광 발전 연계 에너지저장장치(ESS∙Energy Storage System) 설비’ 구축을 완료했다. LS산전은 청주사업장 기준으로 ESS 충전된 에너지를 판매할 경우 매출이 기존 태양광 발전(5억7000만원) 대비 약 2억원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S산전은 최근 청주사업장 내 구축된 기존 태양광 2MW 발전설비에 1MW급 ESS용 전력변환장치(PCS∙Power Conditioning System)와 배터리(1MWh)를 연계해 발전 및 매전을 시작했다. 이 사이트를 비즈니스 모델로 삼아 솔루션 판매는 물론 발전소 운영 및 유지보수(O&M)에 이르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LS산전은 지난 3월부터 약 2달간 계통연계설비부터 태양광 모듈과 인버터, ESS용 PCS, PMS(전력관리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EPC 등 사업 전 분야에 걸쳐 자체 기술과 역량을 투입한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충방전과 전력판매를 시작했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9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고시개정을 통해 태양광 분야에도 ESS를 설치해 생산한 전기에 대해 REC(신재생공급인증서) 가중치 5.0을 부여한다는 방침에 따른 것이다.

이 같은 가중치 부여 제도에 따라 오는 2020년까지 약 4400억원(800MWh) 규모의 ESS 시장 창출이 기대되는 만큼 LS산전은 모듈, 인버터, ESS 전력변환장치, 전력기기 및 배전반, 제어 소프트웨어에 이르기까지 자체 개발한 기술 기반의 솔루션을 통해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특히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전력전자기반 자동화 인버터 및 태양광인버터 기술을 기반으로 그린비즈니스 핵심사업인 ESS용 PCS 기술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4월 1MW급 ESS용 PCS로 UL 인증(UL 1741)을 획득해 미국 전력시장 진출을 위한 필수 제품안전 규격을 확보함으로써 미국 ESS 시장 진출에 속도가 날 전망이다.

구자균 LS산전 회장은 “청주사업장은 이미 FEMS(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가 적용된 스마트 팩토리로 ESS 연계형 태양광 시스템을 통해 명실상부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능력을 입증했다”며 “국내 공장 최초의 MW급 태양광 연계 ESS 발전소인 만큼 비즈니스 모델로 삼아 시장 공략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LS산전은 청주사업장 태양광 발전 연계 ESS 설비 구축을 시작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 추진을 공식화 한 가운데, 고객 밀착형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본격 시장 공략에 나섰다.

LS산전은 지난 4월 전북 전주에서 고객사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LS산전 태양광 발전 및 ESS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LS산전은 이날 행사에서 PCS(전력변환장치), 수상태양광 모듈, 태양광인버터, DC 전력기기 등 스마트 에너지 분야 핵심 제품을 소개하는 한편, ‘태양광 연계 ESS 솔루션’ 일괄 패키지 공급 역량 및 향후 사업 추진 계획을 소개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