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장우호 기자]SK텔레콤은 캘리포니아 마운틴뷰에서 열린 구글 개발자 콘퍼런스 ‘구글 I/O 2017’에서 AR∙VR 플랫폼 ‘T 리얼 VR 스튜디오’를 공개 및 시연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선보이는 ‘T 리얼 VR 스튜디오’는 SK텔레콤이 지난해 4월 공개한 AR∙VR 통합 플랫폼 ‘T 리얼’을 구글의 VR 플랫폼인 데이드림(Daydream)과 연계해 기능을 대폭 업그레이드한 것이다.
18일 SK텔레콤에 따르면 ‘T 리얼 VR 스튜디오’의 가장 큰 특징은 이용자가 모바일 환경에서 직접 VR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활용하면 PC 기반으로 전문 디자이너나 개발자가 제작한 콘텐츠를 이용자가 수동적으로 소비하는 기존 구조에서 벗어나 전문지식 없이도 VR기기(HMD) 착용 후 쉽고 직관적으로 VR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도시를 건설하는 VR게임에서 이용자가 직접 건물, 다리, 숲을 만들고 시내에 트램을 건설하거나 고층 건물 사이를 지나는 롤러코스터를 만드는 등 상상력에 따라 자유롭게 도시를 만드는 게임을 개발할 수 있다.
이용자간 협업도 가능하다. 네트워크만 연결하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이용자들도 동일한 가상 공간 내에서 함께 VR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이를 기반으로 유아용 게임, 건축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와 같이 게임∙교육∙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VR콘텐츠가 파생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 리얼 VR 스튜디오’는 가상 카메라 기능을 담아 콘텐츠 제작 후 카메라 아이콘만 붙이면 해당 위치에서 보이는 360 화면을 감상할 수 있다. 고층 건물 사이에 롤러코스터를 만들고 열차에 카메라 아이콘만 붙인 뒤 콘텐츠를 재생시키면 마치 이용자가 직접 열차에 올라탄 듯 1인칭 시점에서 이동 경로에 따라 바뀌는 주위 도심 화면을 360도 전방위로 감상 할 수 있는 것.
최진성 SK텔레콤 종합기술원장은 “대용량 콘텐츠의 초고속·초저지연 전송이 가능해지는 5G 시대 도래와 함께 AR∙VR도 대중화 될 것”이라며 “‘T 리얼 VR 스튜디오’ 출시와 함께 본격적인 VR생태계 확대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은 2012년부터 AR/VR 기술 연구를 지속해 왔으며 ‘T 리얼 VR 스튜디오’ 개발을 위해 구글과 협력해왔다. 또 가상 콘텐츠 조작 기술 개발을 위해 2015년부터 동작인식 관련 센서 및 솔루션을 개발하는 미국의 IT기업 립모션사(社)와 미래형 인터랙션 기술 개발을 위해 협력을 계속해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