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장우호 기자]SK텔레콤이 약 80km였던 기존 양자암호통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중국, 미국에 이어 세번째로 양자암호 장거리 통신에 성공했다.
SK텔레콤은 양자암호통신 전용 중계 장치를 개발하고, 분당에서 용인∙수원까지 왕복 112Km 구간의 실험망에서 양자암호키를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양자암호통신 전용 중계장치를 여러 개 연결하면, 수백~수천 Km까지 양자암호통신을 보낼 수 있다.
‘양자암호통신’이란 더 이상 작게 나눌 수 없는 에너지의 최소단위인 ‘양자’의 복제 불가능한 특성 등을 이용한 통신 암호 기술이다. 전송구간에서는 현존 어떤 해킹 기술로도 뚫을 수 없는 통신 보안 체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양자암호통신은 단일 양자 수준의 미약한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용 중계장치 개발 전에 양자암호키 전송은 약 80Km까지만 가능했다. 이처럼 거리의 한계를 지녀 양자통신은 뛰어난 보안 성능에도 불구하고 양자암호통신 상용화의 큰 걸림돌로 작용했다.
해외 각국들은 양자암호통신 기술 개발 및 상용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양자정보통신이 다가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로운 시장 창출을 견인하고, 보안의 패러다임을 바꿀 핵심 기술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이 시연한 장거리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중국, 미국 등도 개발한 바 있다.
SK텔레콤이 장거리 양자암호통신 시연에 성공함에 따라 관련 시장의 성장이 예상된다. 마켓 리서치 미디어(Market Research Media)에 따르면 국내 양자정보통신 시장은 2021년부터 빠르게 성장해 2025년 약 1조4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5년 약 26조9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양자암호통신이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통신사의 기간통신망은 물론 행정∙국방∙금융∙의료 등 정보 보안이 필수인 산업에서 서비스 활용도가 상당히 높다.
SK텔레콤은 양자암호통신 시장 개척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 2011년부터 양자기술연구소(Quantum Tech. Lab)를 설립하고 양자암호 원천기술을 개발해 왔다. 지난해 세종시 상용 LTE 망 유선구간에 양자암호기술을 적용한 데 이어 지난 5월에는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와 협력해 대덕첨단과학기술연구망 일부 구간에서도 양자암호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국내 공공기관과 양자암호통신 서비스 제공을 협의 중이다.
SK텔레콤은 많은 수의 양자암호키를 동시에 다양한 수신처로 보내줄 수 있는 전용 중계장치도 개발해 상용망에 적용할 계획이다.
박진효 SK텔레콤 Network기술원장은 “이번 장거리 양자암호통신 성공으로 우리나라도 선진국 수준의 기술을 확보하게 되었다”며, “양자암호통신이 대한민국을 대표할 수 있는 기술이 될 수 있도록, 핵심 기술 개발은 물론 관련 생태계 조성에도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