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정부가 군함도와 관련 한반도 출신자에 대한 가혹한 강제노동 실태는 ‘없었다’고 주장하는 옛 섬 거주자 등의 이야기를 증언으로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함도는 한반도 강점기 해저탄광으로 징용돼 강제 노역에 시달렸던 조선인들의 한이 서린 나가사키에서 약 18㎞ 떨어진 섬 하시마(端島)를 말한다. 야구장 2개 크기의 이 섬에는 1916년 미쓰비시가 세운 일본 최초의 철근콘크리트 건물이 빽빽이 들어서 있으며 멀리서 보면 건물 모습이 마치 군함 같다고 해서 ‘군함도’라는 이름이 붙었다.
8일 교도통신은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일본이 2019년께 군함도가 포함된 세계문화유산 소개시설을 도쿄도(東京都)에 설치, 관련 자료를 전시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보도했다.
교도통신은 이와 관련 한국의 반발은 불가피할 것이며 역사인식을 둘러싼 한일 간의 대립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하며 이로 인해 긴박한 북한 정세에 대한 대응뿐 아니라 일본이 조기개최를 목표로 하는 한·중·일 정상회담의 일정 조정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이번 증언은 일본 거주자 분량뿐이어서 한국에 거주하는 당시 노동자 등의 증언도 확보할 수 있으면 내용과 관계없이 공개하는 방안도 부상하고 있다면서 공개가 검토되는 것은 재일 조선인을 포함한 이전 섬 거주자 등 약 60명으로부터 청취한 200시간 분량의 영상기록 일부라고 보도했다.
교도통신 보도에 따르면 영상기록에는 “조선인에게는 그렇게 위험한 일은 시키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탄광에서 일본인도 조선인도 모두 같았다”, “학대는 있을 수 없다” 등의 주장이 수록됐다.
청취작업은 가토 고코(加藤康子) 내각관방참여(총리의 자문역)를 중심으로 이뤄졌으며 관련 내용은 조만간 인터넷을 통해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아울러 일본은 도쿄에 설치할 관련 시설에서 6500여 장의 사진, 1897년 이후 군함도의 변천을 보여주는 갱도도(坑道圖), 당시 신문기사 등도 전시할 예정이다.
한편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면서 세간에선 일본이 징용의 역사를 설명하는 조치의 일환이라며 역으로 강제노동은 없었다는 식의 주장을 전하는 것은 ‘꼼수’에 이어 본질을 희석하려는 이른바 ‘물타기’ 시도하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