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현수 기자]“회원국 간 우호와 상호 이해 촉진이라는 유네스코 설립 취지와 목적에 반하는 상황이 생기는 것은 피해야 하며 제도 개선이 불가결하다.”
프랑스를 방문 중인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이 유네스코에 세계기록유산 사업의 변경을 요구했다. 그리고는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그동안 분담금 미지급 압력과 동시에 유네스코에 세계유산 제도 개선을 요구해 왔다. 일본은 지난 2015년 난징(南京)대학살 관련 자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자 심사과정에서 이해 당사국이 반론할 기회조차 없었다며 이 제도가 정치적으로 이용됐다고 주장했다.
또한 작년에는 한·중·일 시민단체 등이 일본군 위안부 자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신청하자 매년 내던 분담금을 내지 않는 등의 방법으로 제도 변경을 압박해 왔다. 그리고 올해는 10월 말 유네스코가 위안부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등 ‘압력’이 성과를 거두자 슬그머니 분담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14일 교도통신 보도에 따르면 고노 외무상은 전날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오드레 아줄레 유네스코 신임 사무총장과 만났다. 그는 이 자리에서 “제도 개선이 불가결하다”고 주장했고 아줄레 사무총장은 “회원국과 차분하게 협의하면서 제도 개선을 진행할 것”이라며 동의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아줄레 사무총장은 고노 외무상에게 “유네스코의 정치화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상화를 향해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NHK도 아줄레 사무총장이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는 데 동의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