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지자체가 추진하는 ‘콤팩트시티’…내용은

행정비용 절감 ·주민편의 제고 도모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전국 도시 지방자치단체들이 콤팩트시티(Compact City)를 계획하고 있거나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나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콤팩트시티는 시초손(市町村)의 중심부에 거주지와 도시기능을 집중시켜 시가지 활성화와 행정비용 절감을 추진, 주민 편의 제고를 겨냥한 각종 도시계획을 가리키는 말이다.


26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일본 전국의 시와 도쿄(東京) 23개구() 814개 시·구 자치단체장(703개 시·구 응답)을 대상으로 10~112달간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15%의 지자체가 이미 계획을 세워 추진 중이거나 계획을 수립했다. 23%는 계획 수립에 착수했거나 준비 중이고 14%는 앞으로 계획 수립을 검토 중이다.


지자체의 인구 규모는 인구 50만 이상의 정령시가 70%, 정령시를 제외한 인구 30만 명 이상의 도시가 73%인데 비해 인구 5만 명 미만의 시·구 지자체는 41%로 나타나 재정적으로 여유가 있는 중견 이상의 지자체가 콤팩트 시티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컴팩트시티 계획을 마련 중인 아오모리(靑森) 현 히로사키(弘前) 시는 JR역에서 800이내와 주요 노선버스 정거장에서 300이내 지역을 주거유도지역으로 설정했다. 이 지역 주거를 유도하기 위해 겨울에도 살기 편하도록 눈을 녹이는 설비를 갖춘 도로를 건설하고 있다. 눈 녹이는 설비가 이미 갖춰진 지역에는 맨션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조사 결과에서는 또 조사계획을 세웠거나 검토 중인 지자체에 구체적인 방안을 복수응답으로 물은 결과 약 절반이 공공시설 집약이나 교통망 정비를 들었다. ‘교외 토지의 이용규제집약을 촉진하기 위한 토지이용 규제 완화등의 토지정책을 동시에 추진하는 지자체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야마가타(山形) 현 쓰루오카(鶴岡)시는 거주유도지역을 시가화 구역 총면적으로 약 40%로 축소했다. 주택을 새로 지을 때 주변의 공터와 좁을 골목길을 함께 활용하도록 해 넓은 도로에 면한 주택지로 재생시키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일본판 토지은행으로 불리는 방법으로 시 중심부의 주거환경을 개선, 이주하기 쉽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2005년부터 콤팩트 시티를 추진한 도야마(富山) 현 도야마시는 도심과 거점 지역을 차세대형 노면전차(LRT)와 버스로 연결해 노선 주변 거주를 유도하고 있다. 덕분에 중심 시가지의 인구는 2015년까지 8년 연속 증가했고 지가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시 당국은 LRT와 버스 노선 주변 거주 인구의 비율을 작년 37%에서 202542%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한편 콤팩트시티를 시행하는 것은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행정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민을 도시 중심부에 모여 살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현재 공공시설 집약이나 교통망 재편 등을 통해 도심 거주를 유도하거나 교외 지역 토지이용을 규제하는 방법 등이 동원되고 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