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박선우 기자]일교차가 큰 환절기가 되면 낮과 밤에 급격한 온도차로 인해 몸의 면역력이 약화된다. 면역력 약화는 곧 감기로 이어져 환절기에는 특히 감기로 고생하는 환자가 크게 늘어난다. 이럴 때일수록 감기에 걸리지 않게 평소 몸 관리를 잘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미 감기에 걸렸다면 감기약을 복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동아제약 판피린은 액상 감기약으로 50년 이상 된 장수브랜드다. 판피린은 1956년 품목허가를 받고 1961년 첫 생산 및 판매를 시작했다. 1961년에는 알약 형태로 출시했다가 1977년부터 현재와 같은 크기의 병에 담긴 액제 형태로 변경됐다. 의약품시장 조사기관인 IMS데이터에 따르면 일반의약품 감기약 시장에서 판피린은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200억원 이상 매출을 올리며 1등 자리를 지키고 있다.
제품명 '판피린(panpyrin)'의 어원은 통증(pain)의 pan, 열(pyrexia)의 pyr에 어미 in이 조합된 말로 감기의 대표 증상인 통증과 열에 탁월한 감기약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명은 판피린 큐(Q)다. 큐는 감기를 빠르게 낫게 한다는 의미로 '빠르다(Quick)'에서 따왔다.
많은 사람들은 아직도 날씨가 추워지거나 일교차가 큰 환절기가 오면 “감기 조심하세요~”라는 판피린 광고를 무의식 중에 떠올린다. 1960년대 말부터 도입한 캐릭터 마케팅 덕이다. 동아제약은 TV나 지면광고를 통해 두건을 쓴 판피린 인형을 지속적으로 노출시켰다. 이와 함께 캐릭터 인형에 걸맞은 목소리를 가진 성우 장유진씨를 기용해 ‘감기 조심하세요’라는 간결하면서도 임팩트 있는 메시지로 감기에는 판피린이라는 것을 소비자의 인식에 확실히 각인시켰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판피린 큐는 액상으로 되어 있어 물 없이 간편하게 복용 가능하며 약효 발현이 빠르다"며 "1병의 크기는 한 손 안에 들어갈 정도로 작아 여행이나 외출 시 휴대성이 좋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