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주요 기업들의 실적이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기업의 성적표에 대해 미국과 무역전쟁 중인 중국의 경기가 둔화한 영향을 강하게 받은 탓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1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지난 10일까지 작년 사업연도(2018년 4월~2019년 3월) 실적을 발표한 상장기업 849곳(전체 대상의 약 60%, 금융업종 등 제외)의 순이익을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 기업의 전체 순이익이 전년도 대비 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반기별로 봤을 때 일본 상장기업의 전년 대비 실적이 뒷걸음질한 것은 3년 만이다. 상반기(2018년 4~9월)에는 12.6% 늘었지만 하반기(2018년 10월~2019년 3월)에 14.6% 줄면서 전체적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일례로 주요 기업 가운데 모터 제조업체인 니혼덴산은 상반기 순이익이 32% 증가했으나 하반기에는 55% 급감해 6년 만에 마이너스 실적을 냈다.
산업용 로봇을 제조하는 파낙은 중국 기업들이 설비투자를 줄인 탓에 순이익 감소율이 상반기 5%에서 하반기에는 25%로 커졌고 자동차업체인 마쓰다의 경우 중국 판매량 감소폭이 상반기 11%에서 하반기에는 34%로 더 커지면서 연간 순이익은 43% 급감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부품업종의 하반기 순이익이 53% 줄어 타격이 가장 컸으며 중국경기에 민감한 전기기기를 포함한 제조업종 전체의 순이익은 하반기에 22% 준 것으로 나타났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보도를 통해 중국 시장의 침체로 스마트폰과 반도체 관련 제품 등의 수요가 줄면서 작년 하반기 들어 해당 기업의 수익 환경이 급속히 악화했으며 주력 시장인 중국에서의 수요가 줄면서 자동차 및 가전용 모터 판매가 부진한 영향이 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