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좋은 시절’ 이서진, 희선바라기 시동 걸렸다!

(사진 = 삼화 네트웍스)

 

[KJtimes=유병철 기자] ‘참 좋은 시절이서진이 심장을 출렁이게 만드는 묵언의 달빛 세레나데를 통해 애끊는 러브라인을 펼쳐냈다.

 

이서진은 오는 15일 방송될 KBS 주말드라마 참 좋은 시절’ 7회 분에서 차해원(김희선)을 향한 애타는 마음을 내비치며 하염없이 해원의 방 창문을 응시하는 장면을 그려낸다. 극중 해원의 집 앞에 홀로 서서 안타까운 시선으로 해원의 방을 올려다보는 애틋한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것. 까칠한 평소의 모습과는 사뭇 다른, 고뇌에 가득한 눈빛을 발산하는 이서진의 모습이 쉽지 않을 두 사람의 로맨스를 드러냈다.

 

이와 관련 냉정하고 까칠한 성격의 자수성가형 검사 이서진이 해원을 향해 한발 다가서는 듯 무언의 감정 상태를 표출하는 현장이 포착됐다. 무엇보다 지난 6회 방송분에서 해원에게 분노를 터뜨린 채 동옥 만을 챙 겨 떠나버린 차가운 모습과는 차원이 다른, 그리움마저 묻어나는 자태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는 것. 자신도 어쩔 수 없는, 불가항력적인 힘으로 해원에게 이끌리고 마는 동석이 앞으로 선보일 로맨스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서진이 달빛 아래에서 해원을 향해 묵언의 감정을 내비치는 장면은 지난 25일 경주의 한 야외촬영장에서 이뤄졌다. 회를 거듭할수록 차도남 검사강동석에 완전히 녹아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이서진은 방송 초반부터 가족에 대한 애틋함과 실망감, 재회한 첫사랑에 대한 설렘과 연민을 극과 극 반전 모습으로 그려왔던 상태. 남다른 무게감을 지고 살아왔던 지난 시절을 담담히 반추하면서 첫사랑을 향한 마음을 무심한 표정과 흔들리는 눈길로 표현하며 동석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풀어내고 있다.

 

특히 이서진은 해원을 향해 움직이기 시작한 마음을 캐릭터에 부합하는 치밀한 열연으로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완성해 냈다. 해원 앞에선 차마 보이지 못하는 속내를 길거리에 홀로 선 채 심금을 울리는 시린 눈빛으로 연출했던 것. 이서진은 촬영을 시작하자마자 단번에 동석의 모습과 딱 맞아떨어지는 모습을 펼쳐내며 1시간 남짓한 시간 동안 일사천리로 촬영을 진행하는 등 베테랑 연기자다운 면모를 입증했다. 강렬한 대사나 손짓, 몸짓 하나 없이 좌중을 압도하는 디테일한 눈빛 연기만으로 현장을 몰입하게 만들었다는 후문이다.

 

제작진 측은 이서진은 이서진만이 보여줄 수 있는 매력적인 카리스마로 시선을 뗄 수 없는 존재감을 발산한다“‘참 좋은 시절가족들이 생생하고 실감나게 그려낼 따뜻하고 참 좋은 가족 이야기를 지켜봐 달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9일 방송된 참 좋은 시절’ 6회 분에서는 강동옥(김지호)의 행방불명 소식에 강씨 일가족들이 총출동해서 동옥을 찾아 헤매고 눈물짓는 장면이 담겨져 안방극장을 뭉클하게 만들었다. 참 좋은 가족들이 펼쳐내는 눈물과 감동, 웃음이 넘쳐나는 가족 이야기가 안방극장을 따뜻하게 물들였다.

 

참 좋은 시절’ 7회 분은 오는 15일 오후 755분에 방송된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