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신한은행이 상반기 수익률에서 은행권 ‘빅4’ 가운데 독보적 1위를 달렸다. 철저한 수익 지향적 영업문화와 안정적인 지배구조가 배경으로 꼽힌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올해 상반기 7조6700억원의 매출액에 영업이익 1조400억원을 올렸다.
같은 기간 국민은행의 매출액은 8조1800억원으로 신한은행보다 많았다. 그러나 영업익은 6700억원으로 신한은행의 64%에 불과했다.
하나은행도 매출액에서는 신한은행과 비슷한 7조4300억원을 잠정 신고했지만, 영업익은 약 절반 수준인 5700억원에 그쳤다.
아직 상반기 실적을 집계하지 못한 우리은행은 1분기에 4조3100억원 매출액에 4300억원 영업익을 냈다.
신한은행은 올해 들어 매출액이 지난해 상반기보다 1조5000억원(16.3%) 줄었음에도 영업익은 1900억원(22.3%) 늘었다.
임직원이나 점포 수와 비교한 생산성을 따지면 은행 간 양극화는 더욱 뚜렷해진다.
임직원 1만4602명, 점포 895개를 보유한 신한은행은 상반기에 1인당 영업익 7114만원, 점포 1개당 영업익 11억6000만원을 냈다.
임직원 2만1568명에 점포가 1157개인 국민은행은 1인당 영업익 3106만원, 점포당 영업익 5억80000만원으로 각각 신한은행의 절반도 안 됐다.
하나은행(9339명)과 외환은행(7926명)의 영업익도 임직원 6103만원, 5047만원으로 신한은행에 한참 모자랐다.
신한은행의 독주 배경으로는 철저히 수익 지향적인 영업 문화에 '신한사태' 이후 한결 안정적이게 된 지배구조를 들 수 있다.
반면, 일정부분 은행들의 손실 분담이 불가피한 기업 구조조정에서 홀로 발을 빼거나 우량 여신만 취급하려 하는 등 '보신주의' 영업 방식을 보인다는 지적도 있다.
일각에선 조기 통합을 앞둔 하나·외환은행이나 민영화 이후의 우리은행이 신한은행의 경쟁자로 떠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