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LG화학의 전지부문 신사업이 본 궤도에 올랐다.
LG화학은 올해 상반기 전지 부문에서 매출액 1조4053억원, 영업이익 424억원을 올려 작년 동기간보다 매출 16.1%, 영업이익은 909.5% 성장했다고 6일 밝혔다.
전체 실적에서 전지 부문의 매출과 영업이익 비중은 각각 12.2%, 5.9%에 불과하다. 그러나 주력 사업인 석유화학과 정보전자소재 부문의 영업이익이 13.3%와 61.0% 감소해 전체 영업이익이 20.7% 후퇴한 가운데 전지 부문이 유일하게 선방했다.
올해 전지 부문의 매출 목표는 약 3조원으로 작년 2조6000억원보다 15% 상향 조정됐다.
충북 오창과 미국 홀랜드 등지에 있는 국내외 전지 공장의 평균 가동률도 작년 60.2%에서 올해 1분기 71.5%로 상승했다. 최근 전지 사업이 상승세를 타고 있어 2분기 가동률은 더 올라갈 것으로 업체는 전망했다.
가장 최근인 올해 2분기에는 한동안 주춤했던 모바일전지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LG화학은 "보조전원공급장치(파워뱅크)용 원형 배터리와 슬림PC용 광폭 각형 배터리, 스마트폰용 폴리머 배터리 등의 판매가 늘어남에 따라 공장 가동률이 상승했고, 수급도 안정됐다"고 분석했다.
과거 노트북에 주로 들어갔던 원형 배터리의 사용처를 파워뱅크 쪽으로 돌리는 등 용도를 변경하고, 배터리를 쌓아 용량을 추가하는 스텝드 배터리와 각형 배터리 등 신제품을 개발해 성장이 더딘 모바일 시장에서 반전의 계기를 마련한 셈이다.
자동차전지 부문에서도 공급처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LG화학은 올해 상반기 GM(쉐보레 스파크 EV), 르노그룹(차세대 장거리 전기차), 중국 완성차업체인 상하이기차·쿠오로스 등과 잇따라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 글로벌 완성차업체 20여개사를 고객으로 확보했다.
LG화학은 9월 중국 난징에 연간 10만대의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는 공장을 착공하고, 내년 말부터 본격 양산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