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국내 상장사들의 여성 등기임원 가운데 80%가 지배주주 일가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수가 있는 기업집단이 그렇지 않은 기업집단에 비해 여성 임원 비율이 두 배 이상 높았다.
29일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의 여성 임원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694개사 중 여성 등기임원이 있는 기업은 11.2%인 78개사에 불과했다.
여성 등기임원 수는 총 85명으로, 기업당 평균 1.08명에 그쳤고 두 명이 넘는 여성 임원을 보유한 회사는 단 한곳도 없었다.
여성 등기임원 가운데 사내이사는 80.0%인 68명이었고, 이중 지배주주 일가는 54명으로 79.4%를 차지했다.
결국 여성 사내 등기임원은 대부분 지배주주 일가로, 내부 승진을 통해 이사회 구성원으로 활동 중인 여성은 매우 드물다는 이야기다.
여성 사내 등기임원 가운데 상근직은 70.6%인 48명이었다. 지배주주 일가 출신이어서 형식적인 직책인 비상근 사내이사는 비교적 적은 것으로 풀이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기업집단에 속하는 200개 상장사 가운데 총수가 있는 181개사의 경우 평균 여성 임원 비율이 1.33%였던데 비해 그렇지 않은 19개사는 0.58%에 그쳤다.
다시 말해 총수가 있는 대규모 기업집단에 속하는 기업은 총수가 친인척 여성을 계열사 임원으로 선임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상장 계열사를 갖고 있는 49개 대규모 기업집단 가운데 79.6%인 39개 기업집단이 여성 임원을 단 1명도 보유하지 않았다.
현대자동차[005380]와 한화[000880], 효성[004800], 신세계[004170], CJ[001040], GS[078930], 코오롱[002020] 등이 상장계열사 여성임원 비율 0%를 기록했다.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의 전체 등기임원 수는 4561명으로, 여성임원 비율은 고작 1.9%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