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한전은 초전도 기술을 지속가능한 미래 기술로 보고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해왔으며 그 결과 초전도 기술개발 10여년 만에 세계 최초로 직류(DC) 80kV 초전도 케이블을 실계통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조환익 한국전력 사장의 일성이다. 조 사장은 29일 제주 금악변환소에서 열린 세계 최초 ‘DC 80kV 초전도 전력설비’ 준공식에서 이 같이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스마트그리드, ESS, 마이크로그리드와 같은 스마트하고 클린한 에너지 분야에서 성공적인 실증 경험이 있고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보급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 조 사장의 행보가 끄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이번에 준공된 초전도 전력설비가 세계에선 처음으로 직류 송전급 초전도 케이블 및 냉각설비 등으로 구성됐다는 점이다. 해당 초전도 전력설비 개발은 물론 실계통 적용까지 성공적으로 완료함으로써 직류 송전급 초전도 전력기기 기술 개발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보했다는 게 한전의 설명이다.
한전 관계자는 “초전도 기술은 전기의 수송, 변환, 저장 등에 있어 활용도가 높아 전력계통 분야에 있어 HVDC기술과 함께 경제성과 성능이 높은 미래 먹거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이어 “초전도 케이블은 특히 동일한 크기의 기존 구리 케이블에 비해 송전용량이 5배 이상 크고 송전손실도 50%이상 감소되는 등 저손실의 대용량 전력전송이 가능해져 전력다소비 지역 등의 수요에 대한 효과적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눈길을 끄는 또 다른 이유는 완성도 높은 국내 초전도 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더욱 높여나갈 수 있는 활로를 열었다는 점이다. .
현재 한전은 오는 2015년 10월까지 AC(교류) 154kV 초전도 케이블의 실계통 적용을 목표로 위해 연구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이는 현재 세계 최고 전압인 미국 롱아일랜드에 적용된 138kV를 뛰어 넘는 전압규모의 프로젝트다. 한전은 이에 따라 이 프로젝트 성공시 세계 최고 수준의 초전도 강국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뿐만 아니다. 한전은 이번 DC 송전급 초전도 케이블의 실증 성공경험을 바탕으로 AC 초고압 프로젝트도 성공리에 추진하는 한편 향후 국내 관련기업과 협력해 전 세계적으로 급성장 중인 해외 초전도 시장에 적극 진출할 계획을 마련해 놓고 있다.
한편 이번 준공식에는 산업통상자원부, LS전선, 전기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을 비롯한 관계자 80여 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