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이지훈 기자]대한항공이 국내 7개 항공사 가운데 유일하게 승객 감소 현상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선 승객이 지난 2012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했고 특히 지난해 국제선 시장점유율은 역대 처음으로 30% 밑으로 내려간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인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한항공의 국제선 승객은 1660만명이다. 이는 2013년의 1664만6000명보다 4만6000명(0.3%)이 감소한 것이다. 2012년 1698만7000명과 비교하면 2년 만에 38만7000명이 줄었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의 국제선 수송 분담률은 2012년 35.6%, 2013년 32.6%, 지난해 29.2%로 2년 사이 6.4% 포인트 떨어졌다.
뿐만 아니다. 대한항공은 국내선 승객 역시 지난해 666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29만7000명이 줄어드는 등 감소 추세다. 지난해 국내선 수송 분담률은 3.2% 포인트 내려간 27.3%다.
대한항공이 이처럼 승객이 줄어들고 있는 이유에 대해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와 외국 항공사의 공세 등에 밀리고 있다는 점이 꼽히고 있다. ‘파이는 정해져 있는데 저비용항공사가 많이 늘었고 외국계 항공사도 적극적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어 영향을 받은 것 같다’는 게 대한항공측의 설명이다.
실제 제주항공 등 국내 항공사는 물론 에어아시아, 중국의 남방항공, 동방항공, 중동의 에티하드항공, 에미리트항공 등이 공격적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미국 델타항공, 유나이티드항공 등도 직항 노선을 늘리고 있다.
반면 대한항공과는 대조적으로 아시아나항공과 저비용항공사의 승객은 매년 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지난해 국제선 승객은 1242만5000명이다. 전년 1170만6000명보다 6.1% 증가했다. 2012년 승객은 1122만6000명이었다. 아시아나항공 역시 저비용항공사 등의 공세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대한항공과 마찬가지지만 항공권 할인 확대 등의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는 중이다.
저비용항공사의 국제선 수송 분담률은 11.5%로 전년보다 1.9% 포인트 증가해 사상 처음으로 두자릿수를 기록했다. LCC의 점유율은 2010년 2.3%에 불과했지만 2011년 4.3%, 2012년 7.5% 등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LCC 중 제주항공의 국제선 승객 수가 215만명으로 가장 많다. 이밖에 지난해 연간 국제선 승객 100만명 고지를 처음으로 넘은 항공사는 ▲진에어 136만1000명 ▲에어부산 125만6000명 ▲이스타항공 107만명 등이다.
한편 대한항공은 현재 조현아 전 부사장의 ‘땅콩 회항’에 이어 가수 바비킴에게 탑승권을 잘못 발권한 실수까지 겹쳐 바람잘 날 없는 나날을 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