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이지훈 기자]최대의 명절인 춘제를 앞두고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유통업계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내수 시장에서는 움츠러든 소비심리로 설 특수를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 반면, 춘제를 앞두고 중국인 관광객들이 벌써 밀려들면서 이번 설에는 '제2의 내수'로 불리는 중국인 관광객 특수를 톡톡히 누릴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명동 롯데백화점 본점 10∼11층에 있는 롯데면세점에는 지난 13일 물건을 사려는 중국 관광객들이 발 디딜 틈 없이 북새통을 이뤘다.
특히 설화수를 비롯해 중국인들에게 인기 있는 국내 화장품 브랜드 매장에는 춘제 특수를 겨냥해 마련된 사은품을 받으려는 중국인과 구입 물건을 계산하려는 중국인들이 수십 명씩 줄을 길게 늘어서 지나다니기 어려울 정도였다.
롯데면세점은 작년 중국인 고객 매출(시내 면세점 기준) 비중이 70%에 육박했는데, 1인당 평균 구매 금액은 평균 70∼80만 원으로 내국인의 두 배에 이르렀다.
롯데면세점은 올해 춘제 연휴에는 작년 춘제보다 중국인 매출이 150%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중국인 대상 경품 규모를 작년보다 2배로 키웠다.
서울 신라면세점에서는 춘제를 일주일 가량 앞둔 지난 6∼12일 중국인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50% 정도 늘었다.
롯데백화점 명동 본점의 각 층 매장에도 중국인 방문이 부쩍 늘었다. 특히 아이들을 동반한 가족 단위 관광객이 평소보다 눈에 많이 띄었다.
지난 6∼12일 롯데백화점 명동 본점의 중국인 매출(은련카드 매출 기준)은 전주보다 21% 늘었고,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33.1% 증가했다.
롯데백화점 본점의 작년 중국인 매출은 70%나 늘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경우 2013년 10.9%에서 지난해 17.2%로 급등했었다.
롯데백화점은 중국인 고객 증가 추세에 맞춰 춘제 특수를 극대화하기 위해 중국인 고객이 많은 본점·잠실점·부산본점은 연휴 기간 설 당일인 19일에만 문을 닫기로 했다. 다른 점포들의 경우에는 연휴 기간 이틀 쉰다.
작년 춘제 기간 이들 세 개 점포는 중국인 방문객과 이들의 구매 금액이 평소보다 약 2.5배 증가했다. 백화점 측은 이번 연휴 중국인 방문객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대백화점 압구정점에서는 지난 6∼11일 중국인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87.5%나 늘었다. 작년 춘제 기간(1월 31일부터 2월 6일까지)에는 중국인 매출이 전년도보다 165.7% 증가했다. 올해에는 중국인 매출이 더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백화점 측은 기대하고 있다.
백화점뿐만 아니라 대형마트도 춘제 특수 기대에 한껏 부풀어 있다.
외국인 비중이 높은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는 지난 6∼12일 중국인 매출이 작년 춘제 연휴 전 같은 시점과 비교했을 때 40%나 늘었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과자, 여성 위생용품, 헤어용품 등이 중국인들의 주요 구매 품목"이라며 "작년 노동절 연휴 기간 중국인 매출이 전년보다 51% 늘었는데 올해 춘제에는 중국인 고객이 더 큰 폭으로 늘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유커의 국내 관광으로 승용차 70만대를 수출한 것과 맞먹는 효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작년 국내를 찾은 유커는 612만7000명으로 전년의 283만7000명에 비해 41.6% 증가했다. 전체 외국인 관광객에서 중국인 비중도 전년도의 35.5%에서 43.1%로 크게 높아졌다.
이에 따라 지난해 유커가 창출된 국내 생산유발 효과는 18조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유커 1인당 303만4257원에 달하는 액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