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이른바 '땅콩회항' 사건으로 피해를 보았다며 대한항공과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을 상대로 미국에서 소송을 낸 승무원 김도희씨가 추가 고소장을 통해 "로열패밀리 탑승과 관련한 특별교육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김씨는 지난달 9일 "땅콩회항 사건으로 정신적 충격을 받고, 경력과 평판에 피해를 봤다"며 미국 뉴욕주 퀸스 카운티 법원에 손해배상 소송을 냈고, 대한항공도 이달 15일 변호인 선임계를 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김씨는 최근 퀸스 카운티 법원에 추가 고소장을 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이 '로열패밀리'인 조 전 부사장이 탑승하기 전 특별 서비스 교육을 받았다고 진술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김씨는 두 차례 교육을 통해 조 전 부사장에게 사용하면 안 되는 언어와 기내 환영음악 볼륨, 수프의 최적 온도, 수하물 보관방법 등을 교육받았고, 다른 승무원들은 조 전 부사장의 취향에 관한 보고서를 미리 읽어봐야 했다고 주장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이에 대한항공은 공식입장을 통해 "김씨가 주장한 특별교육은 특정인을 위한 것이 아닌 일등석 승객을 위한 맞춤서비스의 연장이었다"며 "당시 기내서비스 총괄 부사장이었던 조 전 부사장이 탑승함에 따라 서비스 절차 등을 재점검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또 "사건 당시의 객관적 상황은 이미 1심 판결문에 상세히 명시됐음에도 김 승무원 측은 사실 관계를 과장되게 표현하고 있다"며 "부정적 여론을 조성해 재판을 유리하게 끌고 가려는 의도로 볼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한편 김씨의 변호인은 이번 소송을 일반 시민이 배심원으로 참여해 판결하는 방식으로 진행해 달라고 요청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김씨는 3월 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 6개월간 휴직 상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