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 IT/게임

LG 'G4', 천연 가죽 입고 아날로그 감성 완성

[KJtimes=김봄내 기자]LG전자가 국내 최초로 스마트폰 G4의 뒷면에 입힌 천연가죽의 정체를 공개했다.

 

24LG전자에 따르면 G4 후면 커버는 0.001 마이크로미터(1100만분의 1) 모공의 질 높은 암소 소가죽으로 만들어졌다.

 

이 천연가죽은 통풍성이 뛰어나 장시간 사용해도 쾌적함을 느낄 수 있다. 인조가죽 소파는 장시간 앉으면 땀이 차고 찝찝한 느낌이 드는 반면 천연가죽 소파는 통풍이 잘돼 냄새가 나지 않고 부드러운 질감이 지속하는 원리와 같다는 게 LG전자의 설명이다.

 

고급 가방이나 지갑에 쓰이는 천연가죽을 스마트폰에 적용한 이유 중의 하나는 사람의 손에 최적의 그립감을 주기 때문이다. 소재 자체의 밀도가 높아 부드러운데다 일반 금형물 대비 외부압력을 10이상 분산·감소시켜 손의 모든 부분에 무게 부담을 덜어줘 편안함을 준다.

 

LG전자는 심미성을 더하고자 후면 커버의 가운데에 '스티칭(Stitching·바느질)' 작업을 했다. 여기에는 명품 가죽제품에 들어가는 실을 만드는 독일 회사 '귀터만(Gutermann)''마라(Mara)' 제품 라인업을 이용했다. 이 실은 인체에 유해성이 없는 친환경 소재로 유럽섬유환경인증을 받은 바 있다.

 

LG전자에 따르면 G4 천연가죽 후면 커버를 만드는 데는 총 12주간의 제작 공정이 소요된다. 질 좋은 가죽의 수급부터 후면 커버 완성품을 만들기까지 핵심공정만 46단계로, 제작기간은 일반 후면 커버(4)10배에 달한다.

 

핵심공정 46단계는 크게 '유제'(가죽의 부패를 막고 내구성을 높이는 작업) - '코팅'(습기··긁힘 보호 작업: 천연가죽의 질감을 살리기 위한 57마이크로미터의 코팅작업) - '스카이빙'(실제 사용하는 두께로 가죽을 얇게 만드는 방법, 스카이빙된 가죽 두께는 0.45mm) - 'H-JIG'(균일한 압력으로 가죽을 눌러 플라스틱 후면커버를 감싸는 방법) 4가지로 나뉜다.

 

여기에 수많은 핸드메이드 작업도 추가됐다. 가죽의 스티칭 작업을 위해 직접 재봉을 하고 테두리의 올이 풀리지 않도록 코팅 물질을 직접 손으로 바르는 등 수많은 수작업이 진행됐다.

 

LG전자는 천연가죽의 단점인 수분과 열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려고 질 좋은 가죽재료만 엄선하고 강도 높은 후가공 처리를 통해 내구성을 대폭 강화했다.

 

먼저 최상품의 암소가죽의 표피층(겉면)만을 사용했다. 암소가죽의 표피층은 명품 가죽제품 가운데에서도 가장 고급스럽고 비싼 부위로 인정받는다.

 

이외에도 '배지터블 태닝(Vegetable Tanning)', '엣지코팅(Edge Coating)'과 같은 후가공 처리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배지터블 태닝'은 식물성 염료를 가죽에 발라 습한 상온에서 오래 써도 부패하지 않도록 해주는 자연친화적인 공법으로 고급스러운 색감과 향기를 내게 도와준다.

 

'엣지코팅'은 가죽 테두리의 올이 풀리지 않게끔 특수 염료를 여러 번 바르는 공법인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오래 써도 가죽 테두리 부분이 잘 훼손되지 않는다.

 

LG전자가 MC사업본부장 조준호 사장은 "G4 천연가죽 디자인의 콘셉트는 한 마디로 'Comfortable Elegance'(편안한 우아함)"라며 "기존 스마트폰과 다르면서도 소비자가 가장 친숙하고 멋스럽게 느낄 수 있는 소재를 고민했고 이를 장인정신으로 만들어내려 노력했다"라고 강조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