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허공으로 날려버린’ 삼성家 주식자산…얼마?

올해만 2조9000억…그룹 계열 주식 증시 랠리 과정에서 소외된 게 주요 원인

[KJtimes=김봄내 기자]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한 이 회장 가족 5명의 보유 주식 자산 가치가 연초보다 29215억원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그룹 계열 주식이 증시 랠리 과정에서 소외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12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전날 종가 기준으로 1조원 이상의 상장주식 자산을 보유한 주식 부호는 모두 22명으로 집계됐다. 그중에서도 눈길을 끈 것은 이건희 회장가족들이다.

 

주식 부호 1위인 이건희 회장의 보유 주식 가치는 118821억원이다. 연초 123507억원에 비하면 4686억원(3.8%) 줄었다. 세 자녀의 주식 자산도 모두 감소했다. 주식 부호 3위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주식 가치는 연초 92762억원에서 78110억원으로 14652억원(15.8%) 줄었다.

 

주식 부호 공동 8위인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제일모직 사장의 주식 평가액도 연초보다 4971억원(18.1%)씩 줄어든 22509억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이 회장의 부인 홍라희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의 주식 가치는 65억원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이 회장 가족들의 보유 주식 자산가치가 이처럼 쪼그라든 원인은 코스피가 1926.44에서 2097.38로 뛰어오르는 동안 제일모직, 삼성SDS 등 주요 계열사들이 1분기 어닝 쇼크’(실적 충격)를 보이며 주가가 약세를 보인 것에서 찾을 수 있다.

 

한편 범삼성에선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주식 평가액이 연초 28억원에서 27521억원으로 37.6% 늘어나며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을 따돌리고 6위로 올라섰다.

 

또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과 아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의 주식 자산도 올해 각각 1877억원(14.1%)950억원(8.3%) 증가했다. 홍라희 관장의 동생 홍석조 BGF리테일 회장도 6422억원에서 1477억원으로 연초보다 63.1% 늘어났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