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 IT/게임

삼성전자, 스마트폰 부진탈출…‘삼성페이’가 일등공신?

‘일단 성공’ 평가 속 부진 겪는 전략스마트폰 판매 확대 호재 작용 관측 우세

[KJtimes=김봄내 기자]삼성전자의 올해 야심작 중 하나인 삼성페이가 잇따른 호평으로 출시 이후 인기가도를 달리고 있다. 국내에서 삼성페이의 성공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애플 천하인 미국에서도 삼성페이에 대한 극찬이 쏟아지고 있다.

 

삼성페이는 올해 삼성전자가 출시한 전략스마트폰 갤럭시S6부터 이후에 출시된 모델들에 탑재되는 모바일 전자 결제 시스템이다. 향후 전략스마트폰 부진을 탈출시킬 구원투수로 한 몫 단단히 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삼성페이는 국내 출시 이후 가입자가 폭발적인 수준으로 늘어가고 있다. 갤럭시S6S6엣지, 갤럭시 노트5 등 이후 출시된 전략스마트폰 판매가 썩 좋지 않지만 가입자 증가에 따라 이들 신작 스마트폰 판매도 서서히 늘어나는 추세다.

 

삼성페이는 지난 829일 출시된 이후 한 달만에 60만명의 가입자를 기록한 바 있다. 당시까지의 누적 결제금액은 351억원을 넘어선다. 이후 집계가 정확치는 않지만 가입자 폭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증권가에서도 이와 관련, 삼성페이의 가입자 증가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단적으로 토러스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삼성페이가 범용성을 바탕으로 빠르게 가입자를 늘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관수 토러스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페이가 경쟁 서비스와 다른 점은 기존 카드 결제 단말기에서도 이용 가능하다는 것이라며 애플페이와 안드로이드페이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만을 사용하는데 반해서 삼성페이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방식도 함께 채택했다고 부연했다. 이런 범용성을 바탕으로 국내 도입 이후 하루 평균 가입자가 25000명씩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시장의 최대 격전지인 미국에서도 삼성페이는 이미 애플의 애플페이보다 상당한 호평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929일 삼성페이를 미국시장에 정식 출시한 바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애플페이가 안 되는 곳에서도 삼성페이는 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삼성페이는 미국 전체 상점의 85% 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다며 범용성에 놀라움을 타나냈다. 특히 삼성페이가 구형 카드 결제기에서도 작동한 점을 들어 마그네틱 보안전송(MST) 기술 방식을 높게 평가했다.

 

이밖에도 미국 내 각종 경제전문 매체들은 삼성페이가 애플페이나 안드로이드페이보다 실제 지갑을 대체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는 점을 들어 극찬을 아끼지 않고 있다. 단적으로 IT전문매체 테크인사이더는 스마트폰을 신용카드처럼 쓸 수 있는 삼성페이를 직접 체험해보니 거의 완벽에 가까웠다고 찬사를 보냈다.

 

업계에선 삼성페이가 일단의 성공을 거둔 것이 결과적으로는 부진을 겪는 전략스마트폰 판매 확대에 상당한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삼성페이의 보급률은 결과적으로 삼성페이를 탑재한 삼성전자의 신작 스마트폰 판매 증진과 맞닿아 있다는 게 그 이유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