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먹구름이 잔뜩 낀 현대중공업[009540]이 언제쯤 예전의 명성을 찾기 시작할지 그 시점에 주목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올해 4분기부터 실적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이라는 진단이 나와 이목을 끌고 있다.
27일 이베스트투자증권은 현대중공업에 대해 이 같은 진단을 하고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4만원을 종전대로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번 3분기 실적으로 주가가 내려가면 매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양형모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중공업의 3분기 매출액은 10조9000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밑돌았으며 조업일수 감소와 해양 주요 공사의 매출 지연 등이 원인”이라면서 “해양 손실 6429억원이 발생했지만 이는 일회성 요인들이 대부분인 것으로 판단되고 이번 실적은 컨센서스를 밑돌았지만 앞으로의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양 연구원은 “4분기 해양 사업부의 체인지 오더(발주자와 시공사간 공사 추가·변경 계약) 수취 가능성이 높고 다른 사업부는 대부분 정상화됐기 때문에 4분기부터 턴어라운드가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한편 이날 삼성증권은 현대중공업의 목표주가를 종전 12만4000원에서 11만2000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도 ‘매수’에서 ‘보유’로 하향조정했다. 3분기 영업손실 규모가 예상보다 컸다는 게 그 이유다. 이 회사가 전날 발표한 3분기 영업손실은 6784억원에 달했다.
한영수 삼성증권 연구원은 “실적 부진의 원인은 예상대로 해양 부문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해양 부문에서 추가 손실만 없다면 이론적으로는 4분기 턴어라운드(실적개선)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 연구원은 “하지만 지난해 충당금 설정으로 3조원의 영업손실을 인식했음에도 다시 올해 3분기에 누적 1조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음을 감안해야 한다”면서 “결국 해양 부문의 문제 프로젝트는 인도전까지 정상화를 확신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