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스토리

옥시, '임신부·태아 치명적' 서울대 연구 결과도 은폐

[KJtimes=김봄내 기자]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건을 수사하는 검찰이 최대 가해업체로 지목된 영국계 옥시레킷벤키저(옥시) 직원으로부터 "문제가 된 가습기 살균제의 안전성 검사를 하지 않았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21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이철희 형사2부장)은 경찰에서 사건을 송치받은 후인 작년 11월께 옥시 연구원 직원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런 진술을 받아냈다.

 

이 직원은 문제의 화학성분인 PHMG 인산염이 함유된 '옥시싹싹 뉴가습기 당번' 제조에 깊이 관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1998년 처음 가습기 살균제 제품을 내놓은 옥시는 2001년부터 SK케미칼이 개발한 PHMG 인산염(원료명: SKYBIO 1125)이 희석된 신제품을 판매해왔다. 100명이 넘는 임산부와 영·유아 사망을 초래한 제품이다.

 

당시 검찰에 소환된 직원은 "PMHG 인산염으로 제품을 만들면서 흡입독성 실험 등 안전성 검사는 하지 않았다.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직원은 옥시 측이 해당 원료의 인체 유해성을 사전에 인지하지는 못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검찰은 옥시 측이 제품의 인체 유해성을 어느 정도 예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옥시 한국법인 압수수색 등을 통해 관련 단서도 확보했다.

 

업계에서는 외국인투자기업인 옥시가 원가 절감을 지상과제로 두고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은 채로 제품 판매를 밀어붙인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옥시가 2011년 서울대 수의과대학에 의뢰한 흡입독성 평가에서 가습기 살균제에 노출된 임신한 실험 쥐 15마리 가운데 13마리의 새끼가 뱃속에서 죽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연구팀은 "옥시의 가습기 살균제에 생식독성 가능성이 존재한다.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첨부했지만 옥시 측은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은폐했다.

 

대신 같은 연구팀이 이듬해 임신하지 않은 쥐를 상대로 한 실험에서 '유해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온 2차 보고서만 검찰에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연구 책임자인 서울대 교수는 최근 검찰 조사에서 "옥시 측이 자사에 유리한 결과만을 검찰에 공개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옥시측이 2011년 제품을 내놓으며 인체에 안전한 것처럼 표기하는 등 허위 표시광고 행위와 관련해 22일 옥시 측 관계자 3명을 소환 조사할 예정이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