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핫클릭

성장하고 있는 가정간편식(HMR)시장, 제품 선택 기준은?

[KJtimes=김봄내 기자]선진 시장의 핵심 트렌드로 성장하고 있는 가정간편식(HMR, Home Meal Replacement). 맞벌이 및 1인 가구 증가와 함께 국내 HMR시장 규모는20107700억원에서 201515000억원으로 5년동안 약 2배 성장했다. 또한 올해는 제품 다양화로 시장 규모가 더욱 확대돼 2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성장하고 있는 HMR 제품의 구입 목적과 용도, 소비자들의 선택기준은 무엇일까. 풀무원 식품은 소비자 패널 450명을 대상으로 간편가정식(HMR)’ 구매관련 소비자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HMR 제품의 구매 목적으로 한끼 식사를 대체하는 주식이라는 답변이 68%, 구매 이유로는 매번 새로운 요리를 하기 부담스럽다는 답변이 3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HMR 제품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로는 식품첨가물과 나트륨 함량이 높아서58%에 달했으며, HMR 제품 선택시 고려 요인 역시 브랜드’(38%)를 이어 원재료’(23%), ‘식품첨가물과 나트륨 함량’(2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정간편식(HMR) 제품 구매시 가장 걱정되는 부분은 식품첨가물나트륨 함량

 

설문조사에 응답자450명 중 50%는 주 1회이상으로 HMR 식품을 자주 구매하는 소비자였으며, 가끔 구매(1)하는 소비자는 34%, 드물게 구매(2~3개월 1)하는 소비자는 9%였다.

 

가장 먼저 HMR제품의 구매 목적으로는 응답자의68%한끼 식사를 대체하는 주식이라고 응답했다. 뒤를 이어 주식과 함께 먹는 부식’(21%), ‘끼니를 보충하기 위한 간식’(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HMR 제품 구매 이유로는 매번 새로운 메뉴로 반찬을 만들기 부담스러워서라는 답변이 39%로 가장 많았으며, ‘바쁜 일상으로 요리할 시간이 없어서’(32%), ‘요리를 못해도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어서’(16%)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HMR 제품을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한 소비자가 7%에 달했다. HMR 제품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설문에 응한 소비자들 중 식품첨가물과 나트륨 함량이 걱정되서라는 답변을 한 소비자가 58%에 달했으며, ‘원재료를 믿을 수 없다는 답변도 13%로 나타났다.

 

HMR 제품 구매시 무엇을 보고 구매하냐는 질문의 답변 역시 브랜드’(38%)를 제외하고는 원재료’(23%)식품첨가물 및 나트륨 함량’(1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 풀무원식품 구현정 PM(Product Manager)최근 HMR제품은 단순히 빠르고 편리한 인스턴트 식품이미지를 탈피하고, ‘간편하고 다양한 메뉴의 제대로 된 한끼로 소비자에게 인식되고 있다이에 식품업계에서도 원재료를 고급화하고, 나트륨 함량을 낮추는 등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건강 간편식제품을 출시하여 소비자들의 한끼 식사를 대신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풀무원 고급 원재료의 건강간편식, 찬마루로 집밥선호하는 소비자층 공략

 

풀무원의 반찬브랜드 찬마루는 고급 원재료를 사용하여 오랜시간 푹 고아낸 국··찜 제품 6종을 을 추가 출시, 라인업하여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즐길 수 있는 건강 HMR 제품을 새롭게 선보였다.

 

풀무원 찬마루 국·탕 제품은 100% 국내산 육류와 신선한 원재료만을 사용했으며, 풍성한 건더기로 집에서 갓 조리한 듯한 맛과 영양을 듬뿍 담았다. 특히 갈비탕, 사골곰탕, 소고기 육개장, 사골우거지국 등 다양한 메뉴 구성으로 매일 새로운 메뉴를 즐기고 싶어하는 소비자 마음을 공략했다. 또한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전문점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는 찬마루 묵은지 찜 2종은 모두 국내산 김치와 돼지고기, 고등어 등 사용하여 안심하고 즐길 수 있다.

 

아울러 찬마루는 타사 제품 대비 평균 20% 가량 나트륨 함량을 낮춘 소포장 반찬 제품으로 반찬시장도 공략했다. 찬마루 반찬은 들기름깻잎지’, ‘양념깻잎무침’, ‘무말랭이’, ‘멸치견과류볶음’, ‘무항생제 메추리알장조림’, ‘소고기버섯장조림등 총 6종으로 매일 먹어도 물리지 않는 식탁 위 필수 반찬들을 선보였다. 특히 몸에 좋은 견과류와 버섯, 각종 채소 등을 풍부하게 담아 맛과 영양을 살렸으며, 집에서 만든 반찬처럼 짜지 않고 정갈한 맛이 특징이다.

 

풀무원 찬마루 구현정 PM “풀무원 찬마루 반찬류들은 HMR의 편리성은 유지하면서 원재료의 고급화와 엄격한 생산공정으로 집밥과 같은 건강과 영양을 갖춰 싱글족과 바쁜 워킹맘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좋은 재료만을 사용하고 염분을 낮춰 가족들에게 마음놓고 먹일 수 있는 정갈한 집밥 제품들을 계속해서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