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jtimes=견재수 기자] 광복절 특사로 거론되고 있는 담철곤 오리온그룹 회장이 예상치 못한 소송에 휘말리면서 박근혜 정부의 특사 대상 선정에 고민을 안기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조심스레 고개를 들고 있다.
앞서 담 회장은 횡령 혐의가 인정돼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았지만 편법상속, 일감몰아주기, 고배당 등의 논란으로 잡음이 끊이질 않았다. 그런데 최근 부인인 이화경 부회장과 함께 1500억원대 소송에 피소되면서 특사 여부에 관심이 쏠리는 분위기다.
29일 법조계와 재계에 따르면 조경민 전 오리온 사장이 담 회장 부부를 상대로 200억원의 약정금을 달라는 민사 소송을 지난 22일 서울북부지방법원에 제기했다.
오리온에서 20여년간 근무한 조 전 사장은 회사를 퇴직하려던 지난 1992년에 담 회장 부부가 사내 전략 조직인 ‘에이펙스’를 맡아 달라고 했고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던 오리온 지분 상승분의 10%를 지급하겠다는 조건을 걸었다고 주장했다.
조 전 사장은 당시 1만5000원이던 주가가 93만원까지 상승해 담 회장 부부는 1조5000억원의 이익을 봤으며 과거 담 회장이 약속했던 상승분 10%에 해당하는 1500억원이 자신의 몫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약정금액 가운데 우선 200억원을 요구하는 소송을 서울북부지법에 냈다.
담 회장은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구본상 전 LIG넥스원 부회장,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 등과 함께 이번 광복절 특사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인물로 분류됐다.
지난해 오리온 중국 법인이 2004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둔 가운데 담 회장의 사면은 오리온그룹 전반에 사기 진작은 물론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담 회장과 관련된 일련의 논란과 이번에 불거진 1500억원대 거액 소송은 곧 있을 광복절 특사 여부에 악재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는 시각이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다.
더군다나 소송을 제기한 상대가 20여년을 함께한 동료이자 최측근 임원이라 할 수 있는 조 전 사장이라는 점은 더욱 부담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관측이다.
특사 명단을 구성할 때마다 여론의 反재벌 정서를 고려해야 하는 정부 입장에서도 논란이나 구설수에 자주 오르내리는 재벌 총수를 대상에 포함시키기 쉽지 않을 것이란 시각도 공존하고 있다.
재계 한 관계자는 “담 회장이 이번 특사에 포함될 것이 유력하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키를 쥐고 있는 박근혜 정부가 일부 여론의 反재벌 정서를 어떻게 설득하느냐가 관건”이라며, “특사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는 또 다른 재벌 총수들은 마지막까지 더욱 노출을 꺼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