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시가총액 ‘쑥쑥’…증가율 1위는 ‘나야 나’

8조대에서 13조대로 57.3% ‘껑충’…2위는 포스코그룹

[KJtimes=김봄내 기자]현대중공업그룹 시가총액(이하 시총)83725억원에서 131720억원으로 57.3% 급증해 증가율 1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지난 지난 12일 종가 기준 10대 그룹의 시총(우선주 포함) 분석결과에서 드러났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2일 종가 기준 10대 기업집단의 상장사 시가총액이 36조원이상 증가했다. 7143320억원으로 지난해 말 6778410억원과 비교해 5.4% 증가한 364911억원을 기록했다. 유가증권시장 전체 시총 대비 10대 그룹의 시총 비중은 55.2%로 지난해 말(54.5%)에 비해 0.7%포인트 커졌다.


그러면 이런 시총 증가에 견인역할은 한 곳은 어디일까.


분석 결과에 따르면 현대중공업[009540]그룹이다. 이 기간 동안 몸집이 가장 두드러지게 불어났다. 실제 현대중공업그룹 시총은 83725억원에서 131720억원으로 57.3% 급증했다. 물론 이 같은 실적은 증가율 1위에 오르게 만들었다.


그 뒤는 포스코그룹이 쫓았다. 184029억원에서 253065억원으로 37.5% 늘어났다. SK그룹 시총은 14.3% 불어나 두 자릿수 증가세를 기록하는 성적표를 받았다.


삼성그룹주 시총은 3269696억원에서 3521561억원으로 7.7% 증가했다. 최근 갤럭시노트7 사태 및 지배구조 이슈로 주가 변동폭이 커진 것이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그 뒤는 GS[078930]그룹(5.6%)와 롯데그룹(3.1%)이 따랐다.


10대 그룹 상장사 가운데 주가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한화테크윈[012450]이다. 84.8% 뛰었다. 그 뒤는 현대중공업(73.7%), 삼성카드[029780](64.7%), SKC[011790]솔믹스(62.6%), 포스코대우(62.1%) 순으로 이어졌다.


반면 덩치가 줄어든 곳도 있다. LG[003550]그룹 시총은 83239억원에서 732496억원으로 11.8% 쪼그라들었고 현대차[005380]그룹과 한화[000880]그룹도 각각 2.0%1.7% 줄었다.


10대 그룹 상장사 가운데 주가가 가장 많이 떨어진 곳은 한화갤러리아타임[027390]월드로다.연초 이후 57.6%나 떨어졌다. 이밖에 하락률 최상위권에 명단을 올린 종목은 한진[002320](-36.6%), 삼성에스디에스[018260](-36.0%), LG화학[051910] 우선주(-34.0%), SK디앤디(-32.5%) 등이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